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미술/조선시대의 회화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김홍도 관련 자료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작품

김홍도의 금강산 여행과 금강사군첩
김홍도의 풍속화와 배경
김홍도의 춘화도 - 운우도첩(雲雨圖帖)

도화서와 화원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본관은 김해이며, 호는 단원(檀園)이다.

예로부터 안산은 문화적 토양이 매우 비옥했던 고장이었다. 18세기 영·정조시대에 이곳은 학문과 예술의 향훈(香薰)으로 가득차 있었다. 첨성촌(현재의 일동)에는 실학의 거목인 성호 이익이, 북쪽의 부곡동에는 시서화(詩書畵)의 삼절(三絶)로 추앙을 받던 표암 강세황이 계셨다.

김홍도는 7∼8 세부터 20여세까지 이곳 안산에서 표암 강세황(豹庵 姜世晃) 선생으로부터 그림과 글 수업을 받았으며 그의 천거로 도화서 화원이 되었다. 이렇게 어릴 때부터 그림에 천재적인 소질을 보여주었던 단원 김홍도는 후에 어진화가(御嗔畵家)로 대성하여 그 명성을 전국에 떨쳤던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로 이름이 드높다.

김홍도는 풍속화를 잘 그리기로 일반에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남종화, 평생도, 신선도, 풍속화, 진경산수, 초상화 등 전반에 걸쳐 탁월한 기량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산수화는 그의 예술세계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이다.

김홍도의 산수화 배경은 당대에 유행하고 있던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운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천의 아름다움과 함께 우리 산수풍속(山水風俗)의 서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그가 44세 되던 해에 정조의 명을 받고 복헌 김웅황과 함께 금강산에 있는 4개군의 풍경을 그린 것을 계기로 하여 그의 독자적인 산수화를 확립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김홍도가 실제 경관을 사생(寫生)한 것이 금강산 사군첩(四郡帖)인데 여기에서 우리나라 화강암 돌산과 소나무가 있는 토산을 표현하는 적절한 묘사법을 터득하여 나뭇가지에 물이 오르는 모습을 경쾌하게 묘사한 수지법(樹枝法)이 완성되었다.


그의 산수화는 여백을 적절히 남기면서 대상을 압축하는 밀도있는 구도법과 형상을 집약해서 표현해 내는 묘사력, 그리고 운치있는 운염법 등으로 김홍도의 산수화는 진경산수와 남종문인화가 하나로 만나는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가 이룩한 속화(俗畵) 양식은 같은 시대의 긍재 김득신, 혜원 신윤복에게도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그의 후배들이 그대로 추종하여 그의 아들인 긍원 김양기, 임당 백은배, 혜산 유숙, 시산 유운홍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정승 벼슬자리하고도 바꾸지 않는다는 삼공불환도(三公不煥圖)와 한국적인 해학과 정취가 가득찬 25면으로 구성된 풍속화첩(風俗畵帖), 말을 타고 가다가 꾀꼬리 소리에 멈추었다는 마상청앵도(馬上廳鶯圖) 등이 있다.



안산에서 자라며 화가로서의 기틀을 닦은 김홍도


조선시대의 화가, 아니 우리나라 전시대의 화가들 중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인물을 꼽는다면 단연 단원 김홍도가 첫손가락일 것이다.

우리 나라에는 옛날부터 수많은 뛰어난 화가들이 활약하였다. 신라의 솔거(率居), 고려의 이녕(李寧, 12세기 전반과 중엽 활약), 조선 시대의 안견(安堅, c.1400~1470년경), 정선(鄭敾, 1676~1759), 장승업(張承業, 1843~1897)등 大家들만 해도 상당하다.

조선시대의 경우 안견, 정선, 김홍도, 장승업을 四大家로 꼽기도 하는데, 어쨌든 이들은 각각 독특한 예술적 성취와 업적을 지니고 있어 어느 한 사람을 최고로 추켜 올리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화가들 중에서 단연 김홍도를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화가로 주저없이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선 작품이 많이 남아 있어 우리들이 자주 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조선 초기의 안견과 그 이전의 화가들의 경우 남아 있는 작품이 아예 없거나 아주 드물다. 그런 상황에서는 아무리 천재적인 화가라 해도 우리에게 친근하게 다가오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음으로 김홍도의 경우 작품세계가 아주 다양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김홍도는 산수화, 화조영모화, 인물화 등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無所不爲의 기량을 발휘했다.


조선 후기에 김홍도보다 약간 앞서 명성을 떨쳤던 겸재 정선의 경우 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가 長技였다. 그래서 정선은 그 회화적 성취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김홍도 만큼 많은 분야를 통해 우리에게 다가서지 못하는 것이다.

조선 말기의 장승업의 경우에는 작품세계가 다양하지만 김홍도처럼 서민적 체취가 물씬 풍기는 작품을 많이 그리지 않았다는 점이 다르다.

이처럼 우리에게 친근한 국민적 화가인 김홍도는 경기도 安山에서 자라나며 대화가로서의 기틀을 닦아 나갔다. 안산이 이처럼 조선후기 최대의 화가 김홍도가 성장하는 배경이 된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18세기 당시 안산은 노론(老論)과 이 당쟁에서 피해 물러난 남인(南人)과 소북(小北)계 문인, 학자들의 중요한 활동처였다.



우리나라 실학자 중 유명한 星湖 이익(李瀷, 1681~1763) 선생을 비롯하여 그의 조카이자 당시 문단의 거장인 이용휴(李用休, 1708~1782),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 1713~1791)과 허필(許?, 1709~1768), 강세황의 처남이자 안산 문화계의 구심점이 되었던 진주 유씨 유경종(柳慶種, 1714~1784)과 그의 수많은 친구들이 당시 안산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특히 유경종은 조부인 이조판서 유명현(柳命賢, 1643~1703)의 고향집을 물려받아 오교장(午橋莊)을 마련하여 안산 문화계의 사랑방을 제공하였다(지금의 부곡동). 현재의 정재초등학교도 진주 유씨 후손들이 그 부지를 정부에 기증하여 건립된 것으로 유명현의 호이다.

어쨌든 유경종의 오교장에 드나들었던 많은 인물들 중에는 유명한 역사학자 안정복(安鼎福, 1712~1791), 시인 신광수(申光洙, 1712~1775), 正祖代 좌의정 채제공(蔡濟恭, 1720~1799), 정치인 목만중(睦萬中, 1727~?) 등 유명인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김홍도는 이처럼 풍성한 안산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대화가로서 성장하는 기틀을 닦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스승 강세황과 이용휴가 있었으며, 이들은 안산 문화계의 핵심 인사들이었던 것이다.

김홍도의 폭넓은 회화세계는 풍속화(風俗畵)와 신선도(神仙圖 ⇒ 道釋人物畵), 고사도(故事圖 ) 등의 인물화, 다양하고 많은 소재를 포괄하는 화조화, 동물화, 진경산수화와 관념적인 산수화 등 너무나 다양하다.

이들 중 풍속화나 신선도 한 가지 분야만 해도 아주 큰 회화적 성취와 그에 따른 풍성한 미술사적, 문화사적 맥락을 짚어 볼 수 있다. 고사도나 화조화, 진경산수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김홍도의 폭넓은 회화세계를 주마간산(走馬看山)식으로 열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그것보다는 김홍도의 회화적 성취 중에서도 중요한 한가지 주제-금강산도에 대해서 그것이 그려진 경위와 회화적 특징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단원 김홍도의 작품세계


* 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대표적 화가

산수·도석인물(道釋人物)·풍속·화조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으며, 그의 화풍은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의 작품은 현재 200여 점 정도 알려져 있는데 화풍상의 변화는 50세를 중심으로 전후 2기로 크게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산수화의 경우에는 전기에는 원체화적(院體畵的) 경향을 띤 정형산수를 많이 그렸는데, 1778년 작인 〈서원아집도 西園雅集圖〉 6폭병풍과 선면화(扇面畵) 등에 잘 나타난다.

50세 이후의 후기에는 한국적 정서가 담긴 진경산수를 즐겨 그리면서 단원법(檀園法)이라 불리는 보다 개성이 강한 화풍을 이룩하였다.

그의 후기 산수화풍은 석법(石法)과 수파묘(水波描) 등에서 정선(鄭敾)·심사정(沈師正)·이인상(李麟祥)의 영향이 부분적으로 발견되지만 고도의 회화감각으로 처리된 탁월한 공간구성과 변형된 하엽준(荷葉), 수묵의 능숙한 처리, 강한 먹선의 강조와 맑고 투명한 담채의 효과 등을 통해 독창성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만년에 이르러 명승의 실경에서 농촌이나 전원 등 생활주변의 풍경을 사생하는 데로 관심을 바꾸었으며 이러한 사경산수 속에 풍속과 인물, 영모화조 등을 그려넣어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일상사의 점경으로 승화시키기도 했다.

산수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했다. 도석인물은 전기에는 주로 신선도를 많이 그렸는데, 굵고 힘차면서도 거친 느낌을 주는 옷주름과 바람에 나부끼는 옷자락 그리고 티없이 천진한 얼굴모습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 시기의 신선묘사법은 1776년에 그린 〈군선도병 群仙圖屛〉(호암미술관 소장, 국보 제139호)에서 전형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후기가 되면 화폭의 규모도 작아지고 소방하면서 농익은 필치로 바뀌게 된다.

김홍도의 회화사적 비중을 한결 높여주고 있는 분야는 풍속화이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생활상과 생업의 광경을 간략하면서도 짜임새있는 구도 위에 풍부한 해학적 감정과 더불어 표현된 그의 풍속화들은 정선이 이룩했던 진경산수화의 전통과 나란히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을 가장 잘 대변해준다.

당시 속화체(俗畵體)로도 불렸던 그의 풍속화풍은 현실적인 소재를 소박한 생활정서와 풍류적 감성이 가미된 생동감 넘치는 기법으로 창출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된다.



<평가 및 영향>


홍백화(洪白華)의 글과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기 壺山外記〉에 의하면, 김홍도는 외모가 수려하고 풍채가 좋았으며 또한 도량이 넓고 활달해서 마치 신선처럼 보였다고 한다.

스승인 강세황으로부터는 '근대명수'(近代名手) 또는 '우리나라 금세(今世)의 신필'이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그리고 정조는 '회사(繪事)에 속하는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주장하게 했다'고 할 만큼 그를 총애했다.

김홍도가 이룩했던 한국적 감각의 화풍과 경향들은 그의 아들인 김양기(金良驥)를 비롯하여 신윤복(申潤福)·김득신(金得臣)·김석신(金碩臣)·이명기(李命基)·이재관(李在寬)·이수민(李壽民)·유운홍(劉運弘)·엄치욱(嚴致郁)·이한철(李漢喆)·유숙(劉淑) 등 조선 후기와 말기의 여러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화 발전에 탁월한 발자취를 남겼다.

안견(安堅)·정선·장승업(張承業)과 함께 조선시대의 4대 화가로 손꼽힌다. 그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의 화풍을 추종했던 화가들을 가리켜 김홍도파 또는 단원파(檀園波)라 하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작품들 외에 그의 대표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단원풍속도첩〉(보물 제527호)과
개인소장의 〈단원도 1784〉·〈금강사군첩〉·〈섭우도 涉牛圖〉·〈기로세련계도 耆老世聯圖 1804〉
간송미술관 소장의 〈무이귀도도 武夷歸棹圖〉
호암미술관 소장의 〈단원화첩〉(1796년작, 보물 제782호) 등이 있다.

연보로 본 김홍도의 생애

김홍도의 금강산 여행과 그림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김홍도의 생애를 연보를 통해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이 그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연대기적인 위치와 문화사적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회화 자체의 이해에도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 김홍도 年譜 -

*1774년 강세황이 서울에서 안산시 부곡동 처가 근처로 이사옴
1745(영조21)년 金海 金氏 중인 집안에서 출생, 증조부는 萬戶(종4품). 부친 金錫武는 벼슬없음


소년기 - 10대 : 安山에서 유명한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과 문학가 이용휴(李用休)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서 문예 전반의 교양을 쌓음.

10대말 - 20초 : 도화서 화원이 됨. 20대부터 명성 날림.

1765(영조41)년 (21세) : 《景賢堂受爵圖?屛》을 그림(그림은 전하지 않음).
1773(영조49)년 (29세) :  英祖御眞 및 世孫(正祖)의 초상을 그리는데 동참화사
1776(영조52)년 (32세) :  봄 호암미술관 소장 《群仙圖》8첩병풍
                                ※ 3월 5일 英祖 승하, 正祖 즉위.
1778(정조 2)년 (34세) : 《行旅風俗圖》 8첩병풍, <西園雅集圖>扇面,<西園雅集圖>6첩병풍
1779(정조 3)년 (35세) : 《神仙圖》 8첩병풍(국립박물관), <松月圖>
1781(정조 5)년 (37세) :  * 眞率會. <仕女圖>, <正祖御眞>(31세상), 《慕堂平生圖》8첩병풍
1782(정조 6)년 (38세) :  <南極星圖>
1783(정조 7)년 (39세) : 12월 28일 경상도 安奇察訪 임명(이후 1786년 5월까지 2년4개월간 재임).
1784(정조 8)년 (40세) :  燈淸閣雅集. 淸凉山 遊覽 <檀園圖>
1786(정조10)년 (42세) : "湛樂薺"懸板(안동인근 풍산읍 상리동 宣城李氏 ?華亭)
                               5월 경상감사 김상철과 이병모의 선정비 세움(현재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뜰).
                               5월 안기찰방 임기를 마치고 강세황에게「檀園記」를 청해 받음
                               <安陵新迎圖>(原本은 전하지 않음).
1787(정조11)년 (43세) : 李漢鎭과 <寧靜帖>을 합작
1788(정조12)년 (44세) : <金泥竹鶴圖>선면, <金泥花鳥圖>>선면.
                                隱巖雅集, 4월2일 李德懋의 부친의 71세 생일잔치에참석, 가을 金剛山 寫景.
1789(정조13)년 (45세) : 對馬島에 가서 지도를 그림. ※ 顯隆園 영건.
1790(정조14)년 (46세) : ※龍珠寺 창건, <騎驢遠遊圖>선면, 《十老圖象帖》 (강세황과 합작)
1791(정조15)년 (47세) : ※강세황 卒(79세), <松石園詩社夜宴圖>, <정조어진>, 12월 22일 충청도 延豊縣監 임명.
1792(정조16)년 (48세) : 연초 연풍현감 부임. 公靜山 上菴寺에 기우제와 시주. 이때쯤 아들 金良驥 출생.
                               9월 李光燮, 李漢鎭, 黃運祚 등과 西原雅集.
1793(정조17)년 (49세) : 연풍현감 재임. ※봄 작년에 이어 三南에 가뭄과 기근.
1794(정조18)년 (50세) : 연풍현감 재임. ※3년 연이어 三南에 큰 기근.
1795(정조19)년 (51세) : ※1월 7일 연풍현감 해임.
                               ※윤2월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華城).
                               『園幸乙卯整理儀軌』圖設 삽화, 《을묘년화첩》, 《풍속도8첩병풍》
1796(정조20)년 (52세) : 《병진년화첩》(檀園折世帖), 『佛設大報父母恩重經』再刊.
                               <徐直修肖像>, 《園幸乙卯整理所?屛》(수원능행도).
                               ※8월 19일 華城 완공, 水原行宮에 排設한 병풍 ?本華城秋八景圖 그림.
1797(정조21)년 (53세) : 『五倫行實圖』
1798(정조22)년 (54세) :  <海山仙鶴圖>
1799(정조23)년 (55세) :  ※ 이 무렵부터 만년에 쓴 書簡과 詩文이 《檀園遺墨》
1800(정조24)년 (56세) :  正初 歲畵 《朱夫子詩意圖>, 8첩병풍
                               ※6월 28일 正祖 갑자기 승하함.
1801(순조 1)년 (57세) : 《三公不換圖?屛》
1802(순조 2)년 (58세) : <滄波圖>선면, <老僧觀瀾圖>, <歸漁圖>
1803(순조 3)년 (59세) : <冠巖圖> 그림( 《高山九曲圖12첩》 병풍 중 제3폭).
1804(순조 4)년 (60세) : 이무렵 천식 등 병고로 시달림. 5월 5일 규장각 차비대령화원으로 처음 差定 됨.
                               <耆老世聯契圖>, <老梅圖>, <知章騎馬圖>
1805(순조 5)년 (61세) : 8월 규장각 차비대령화원 祿取才에 마지막 참여함. <秋聲賦圖>
1809년말 이후 1809년 이전 어느 때 죽음.
1809(순조 9)년          : 純祖가 《海山帖》을 洪顯周에게 下賜함.
1818(순조18)년         : 아들 김양기가 《檀園遺墨》을 만듬.
 



홍성담화백이 본 김홍도의 예술과 삶


단원 김홍도 선생의 고향은 안산이다.

안산에 초지동이 있는데 이곳이 당시에는 경강이라 이르렀던 한강, 김포와 화성 남양만의 요충지로 이를테면 지금의 해군사령부가 있었던 장소이다. 이곳이 제1초지진이었으나 숙종 이후로 강화도로 옮겨 갔으며 강화도를 제2초지진이라 했다.

안산, 남양 땅은 조선 시대부터 아주 글로벌한 땅이었다. 특히 중국을 갈 때면 압록강을 건너 산동반도를 지나는 육로길이 있었겠지만 어찌 중국을 가는데 사람 몸 하나만 달랑 가겠는가? 주로 바닷길을 이용하여 배로 단동이나 산동, 연경 등 청나라로  들어갔는데 그 대부분 출발의 거점이 안산 땅이었고 화성 남양만 뱃길이었다.

군사적 전략적 요충지인 초지진과 함께 조선의 공물(公物)들이 한꺼번에 모이는 주요지역이었는데, 남쪽 호남평야, 김제평야의 세곡선이 우마차로 올라올 수 없어서 배로 안산바다로 들어왔다. 당시 영광 법성포, 고창, 군산 등의 세곡선이 이곳으로 와서 바로 경강인 한강나루와 마포로 들어갔다.

그러다 보니까 이를 노리는 수적들과 해적들이 많았다. 수적은 조선 민중들로 구성되기도 했지만 아주 큰 수적들은 외부의 왜구들도 포함하고 중국인들까지 관계한 규모로 그 세력들이 컸다. 수적들 간에도 세력 판도가 있었고 나라간 그리고 세력간의 싸움들이 빈번했었다. 단원 김홍도와 이들이 결코 무관하지 않다.


단원이 살았던 시대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단원은 영조와 정조, 순조 초기까지 살았다. 영·정조 시대는 조선 시대 급격한 변동기였다. 그 연대적 흐름을 보면서 단원이 살았던 시대적 상황을 접근해야 한다.

단원은 출생기와 죽은 해가 정확하지 않다. 도화서(圖畵署) 화원은 중인계급으로 대부분 그 기록이 없다. 하지만 전적을 비교해보면 1745년(영조 21)에 태어나 정조가 죽은 후 1806년(순조 6)까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조는 조선의 왕들 중에서 가장 길게 56년간 집권했다. 정조도 24년간 길게 집권하여 사학자들은 조선 영·정조대가 태평성대한 시기였다고 하는데 사실은 굉장한 사회적 변혁기였다.


단원은 1745년(영조 21)에 태어나서 정조가 죽은 후 1806년(순조 6)에 죽어 62세로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그 시대상을 살펴보면,

숙종 때 우리나라 최초 전국인구 조사를 했는데 1720년 전국 인구가 680만 8백8명이었다.
 
인구조사를 할 만큼 왕권이 강화되었고 권력이 공고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이듬해 1721년 전국 각지에서 민란(民亂)이 발생한다. 그 민란들을 잠재우기 위해 노론계 네 대신을 귀향 보내고 보름 안에 그 네 대신들을 숙청한다.

1724년에 영조가 집권하고 1727년 전라도 각지에서 민란이 발생한다.

1728년 난 중에 가장 큰 이중자 난이 발생하고, 1730년 황해도, 1742년 강원도 등에서 민란이 발생한다

1745년 단원이 탄생.

1752년(단원이 7살때)에는 안산 인근 군포에서도 큰 민란이 났으며,

1753년에는 이중환의 『택리지』가 저술된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모티브다. 이중한의 『택리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문지리학 저술이다. 이중환에 의해 백두대간 1대간과 13정맥으로 파악되어 바야흐로 우리 인문학의 원전이 탄생된 것이다.

일제 시대에 들어 일제 어용학자들이 서양식 기법에 의한 산맥 개념을 도입하면서 우리 식의 인문지리가 사라져 버렸는데 이 『택리지』 저술은 비로소 조선식으로 우리 땅을 분석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후에 <청구도>와 세계 지리사에 기리 남을 고산자의 <대동여지도> 등이 발간된다.

<대동여지도>는 거대한 한반도 지도로 매우 크며 거의 정확하다. 풍수를 공부할 때 실제 기존 우리나라 지도를 가지고 실측하는 것보다 이 <대동여지도>를 보고 지경(地境) 등을 파악할 정도로 매우 정확하다.

이 모든 지도들의 철학적 근거가 된 것이 바로 이중한의 『택리지』이며 이로써 우리 땅이 우리식으로 해석된 것이다. 이 모든 것이 단원 살아생전에 이루진 일들이다.

1758년에 해서 · 관동지방에 천주교가 크게 보급된다. 천주교는 자기 조상의 제사를 폐하는 면이 있어서 나라에서 이를 엄금했다. 천주교 전래는 단원과 상관관계가 있다.

1762년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서 굶어 죽는다.

궁궐 안 도화서의 단원이 이 사건을 겪는다. 도화서 화원은 날마다 궁궐로 출퇴근해야 하니까 다음 왕이 될 사도세자가 죽은 그 엄청난 상황을 절실히 목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역시 단원의 예술혼과 관련해 또한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아울러 우리가 단원의 정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1771년(영조 47)에 왕세손(뒤의 正祖)의 초상을 그렸다.

1776년 드디어 정조가 즉위한다.
우리는 정조를 흔히 ‘철의 군주’라고 한다. 철인개혁정치, 조광조, 그리고 화성 등이 생각난다. 
 
정조가 즉위하고, 즉시 규장각이 설치된다. 규장각은 대단한 기관이다. 요즘으로 말하면 국회도서관이다. 당시 조선 땅에서 나온 모든 서책과 자료들을 아카이브하고 정리하여 논쟁하고  전국적인 담론을 이끌어가는 기관이었다.

정조를 개혁정치, 철인군주라 하지만 나는 감히 ‘예인군주(藝人君主)’라고 말하고 싶다. 예술에 대한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립박물관에 가면 정조대왕의 그림과 글씨가 있다. 한번 그것을 보면 그 다음 글과 그림이 확연히 정조대왕 것인지를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그 솜씨가 탁월하였다.



창경궁 영춘헌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지은 정조대왕의 시. [리움 소장]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정조의 효심이 잘 드러나 있다.


어머니 위해 경사스런 자리를 크게 여니 전보다 빛나고
색동옷 입고 헌수(獻壽)하는 모임을 다시 여네.
탁 트인 영춘헌에서 봄을 맞이하니 봄이 떠나지를 않아
삼가 이 모임을 해마다 열리라.


(번역 임재완)



당시 도화서 궁궐화가가 약 30여 명 되었는데 그 중에서 단원을 정조대왕이 특히 총애했다.

임금이 감히 중인(中人)인 화가를 직접 거론한 예가 없는데 《정조실록》에 따르면 단원 김홍도를 몇 차례 언급하고 있을 정도이다. 그런 면에서 단원을 ‘민중의 숨결을 그린 화가다’라고 보는 견해는 꼭 맞는 얘기가 아니다. 단원은 기본적으로 대왕의 총애를 한몸에 받는 궁중화가였던 것이다.

1781년(정조 5)에 어진화사(御眞畵師)로 정조를 그렸다.

1784년에 최초 천주교 세례자가 나온다. 이승훈이 중국 연경에서 세례를 받은 것이다.
그러나 그 이듬해인 1785년 천주교도 1,400명 순교를 당한다.

그후로도 천주교에 대한 박해와 천주교도들의 순교가 이어지는데 가위 한국 천주교의 수난의 역사라고 할 만하다. 개신교와 다르게 천주교는 수천 명이 죽은 순교의 역사로 점철되어 있다.

1787년 프랑스 함대가 제주도와 울릉도에 나타나고 그 후로도 한반도는 결코 고요한 땅이 아니라 포르투갈, 네덜란드 함대가 자주 출몰하는 그야말로 서세동점(西勢東占)의 공간이었다. 지정학적으로 한반도는 러시아, 중국, 일본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것이다.

1788년 스승 김응환(金應煥)이 왕명을 받고 몰래 일본의 지도를 그릴 임무를 띠고 떠날 때 그를 수행, 부산까지 갔으나 김응환이 거기서 병으로 죽자 홀로 쓰시마섬[對馬島]에 가서 일본 지도를 모사(模寫)해 가지고 돌아왔다.

1790년 수원 용주사(龍珠寺) 대웅전에 《삼세여래후불탱화(三世如來後佛幀畵)》를 그렸다

1792년 정약용이 기중기를 발명하고 이를 통해 화성(華城)이 건설된다.

1795년(정조19) 연풍현감(延豊縣監)이 되었다가 곧 사임하였다.

1796년 왕명으로 용주사의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삽화를 그렸으며,

1797년 정부에서 간행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의 삽화를 그렸다.

179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안경을 쓴 사람이 나온다. 그렇듯이 서양문물이 마구 들어온 것이다.

최초로 공식적으로 정조가 책을 읽는데 안경을 쓴 것이 《정조실록》에 나온다. 이제는 궁궐에 들어와 감히 임금의 옥안에 안경을 낄 정도가 되었으니 당시 얼마나 충격적이고 개혁적이었는가?

그리고 정조가 급서하고 1800년 순조가 즉위하였고 1806년 단원 김홍도가 죽은 것으로 보인다.

다시 안산으로 돌아와 안산은 어업과 염업(鹽業)을 중심으로 특히 소금업이 활발했던 곳이다.

그때는 지금 같은 천일염이 아니다. 천일염은 일제 근대화의 산물이다. 그때는 자염, 화염이었다. 그때는 바닷물을 직접 거대한 무쇠솥에 붓고 밑에서 엄청나게 불을 때서 증발시켜 만들었다. 그래서 도깨비가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을 흉내 낼 수 있지만 감히 소금 만드는 일을 도저히 따라 할 수 없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였다.

소금 한 가마를 내기 위해서는 땔감으로 엄청난 나무가 필요했고 소금은 모든 음식 맛을 낼 수 최고의 물품으로 상당히 비싸고 나라해서 전매한 품목이었다.

아무리 나라에서 전매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관리들과 커넥션에 의해 소금을 빼가는 경우가 많았고 그 빼가는 양에 따라 소위 자본축척이 이루어진다. 또한 염업은 그 인근의 산악지대를 초토화시켰는데 그래서 염업은 바닷가뿐만 아니라 나무를 조달하기 좋은 섬 지방에서 활발했다.

당시 육지는 그린벨트 개념이 있어서 벌목을 할 수 없는 제약이 많았던 데 비해 섬 지역은 남벌 등이 이루어졌다. 당시 대부도, 형도, 덕적도, 광덕산, 수리산 인근의 산과 섬들은 벌거숭이였다. 그 염업이 수도권에서 가장 발달한 곳이 시흥, 안산이었다.

그리고 담배 농사 또한 화성 남양만 일대에 많아서 아주 질 좋은 담배산업이 발달하였다.

앞서 이곳에 해군사령부가 있어서 경강과 수도권 해역을 지키고 있었으며 중국과 남도 땅으로 가고 들어오는 무역선과 배들이 정박한 무역항과 어항이었다.

그렇듯이 이 안산 지역은 역마와 역사가 발달했고 군사기지로서 관기와 찰방, 객사들이 즐비한 지역이었다.

이 곳 해군사령부 퇴역군인 중 무사 한 명이 있었는데 그 부인인 ‘명우지’가 있어 둘 다 중인으로 당시 유명한 검객들은 거의 다 중인계급들이었다. 특히 ‘명우지’는 한양에서 소문난 바느질쟁이였다. 명우지는 밝은 ‘明’자, 비 ‘雨’자, 손 ‘脂’자로 여기에 기녀와 기생이 많아 늘 패션너블하여 이렇듯 뛰어난 침쟁이의 활동이 가능했을 것이다.

앞서 수적 얘기를 했는데 수적들이 세곡선을 털어 이곳에서 팔아먹지 못하니까, 당시 오끼나와 등 해외 도서 등을 거점으로 거래를 했다.

우리나라 3대 도적이라 하는 임꺽정, 홍길동, 장길산 등을 성호 이익 선생도 언급했는데 홍길동이 오끼나와 율도로 들어가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홍길동이 이미 율도와 인연이 있어서 간 것으로 봐야 한다. 그 장물들과 획득물을 유통하러 오끼나와까지 들어간 것이다. 수적들은 사실상 바다를 장악하고 있었으며 큰 무역상끼리는 서로 연결되어서 움직인 것으로 봐야 한다.

대부분 수적들의 형성은 이인좌 난이나 큰 민란이 평정되면 도망가서 수적이 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규모가 큰 수적들 간에서는 서로 안면이 있어 소통과 교류를 하고 있었다.

행세께나 했던 대감이나 남쪽으로 내려온 지방의 현감들은 임금이 불러주기를 기다리며 북쪽(임금)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면서 늘 중앙권력의 실세(實勢)로 들어갈 꿈을 꾼다. 그리고 엄청난 민중 수탈을 해서 이를 임금이나 정권 실세에 받쳐 판서를 얻고 관직을 얻는다. 지방의 현감이나 목사들의 1년 농사는 민중들을 수탈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창고를 터는 수적들이 많았다. 수령들이 ‘1년 농사’를 해서 배를 태워서 경강으로 마포로 보내는데 이를 바다 한가운데서 터는 것이다.

이 곳 초지진에는 조선 최대의 무사들과 퇴역군인들이 많았고 인근 수적들을 서로 잘 알기 때문에 이들이 와서 도움을 청하면 해결사 노릇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수적과 정당히 협상을 하여 물건을 다시 내 놓기고 하고 타협을 해주기도 한다. 나라에서 토포령이 떨어지지 않는 한, 수적들과 전면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서로를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로 먹고 사는 방편이었던 것이다. 대부분 민란 주모자들의 경호무사로 있었던 사람들이 관군에 의해 평정될 때 도망가거나 수적이 된다.

그런데 한 하급무사가 이인좌의 난으로 검거된 수적과 역모를 했다 쫓기다가 광덕산 아래에서 죽게 되었다. 이미 부인은 만삭이 되어 퇴기의 집으로 가서 몸을 피하고 있다가 아기를 낳고 결국 죽었는데 그 아이가 단원 김홍도이다.

단원 김홍도는 관기 집에서 기녀들 손에 의해 자랐으며 안산 주변 장시(場市)들을 돌아다니며 장돌뱅이로 컸다. 기생 밑에서 커서 춤도 잘 추고, 젓대와 비파도 잘 불었다. 당시 기생은 조선 최고의 예인 집단이었다. 조선 문학을 보면 황진이, 명월 등의 예에서 보듯이 대부분 기생문화였다.

전적에 따르면, 김홍도는 아주 기골이 장대했고 아버지가 무사 집안이었던 것으로 나와 있다. 그렇게 장돌뱅이로 돌아다니는 김홍도를 시장바닥에서 표암 강세황 선생이 유심히 보았다.


여기서 표암 강세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표암은 명문사대부 출신이다. 부친이 64세 때 강세황을 낳았는데 기질이 밝고 아주 해악적인 인물로 유명하다. 옛날 한양에서는 안산에 가면 일동에 성호가 있고 부곡동에는 표암 강세황이 있다고 할 정도로 알려져 있었으며 강세황은 조선 시대 예원의 총수였다.

강세황은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는 남종산수화 (南宗山水畵)를 가져와서 이를 한국적 산수화로 정리한다. 그에 의해 비로소 한국적 그림이 만들어진 것이다. 중국것을 그냥 베낀 것이 아니라 ‘진경산수화’를 유행시킨 인물이다.

진경실경 산수화를 전반적으로 유행시켰을 뿐만 아니라 최초로 풍속화와 인물화를 널리 전파하였고 서양화법에 따른 입체감과 원근법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인물이었다.

원래는 서울 장충동에 태어났으며 조부가 예조판서, 아버지는 대제학까지 지낸 명문세족인데 친형과 장인이 이인좌에 난에 연유되면서 벼슬길이 막히고 밥 먹을 것을 걱정할 처지가 되어 32살에 처가인 안산으로 이주했다. 옛날에는 처가살이가 당연시되었다.
 
화법과 서법을 철저히 독학으로 하였고,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 또한 독특해서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평론가이기도 했다. 그 이후 추사 김정희가 있지만 그는 중국 그림을 흉내 내는 ‘새끼 중국인’으로서 지금 식으로 말하면 오렌지족이었다.

강세황이 61살이라는 노령에 영조의 부름을 받고 출사했다.

66세에는 동지사로 북경에 가게 되는데 그 글과 그림이 뛰어나서 당시 청나라의 유명한 문예가들에게 칭송이 자자했으며, 예술담론 또한 뛰어나서 그들과의 논쟁에서 지지 않아 중국화단을 1년2개월 만에 싹쓸이하고 홀연히 돌아온다.

표암 강세황의 그림은 중국의 남종문인화를 한국적으로 정리한 그림이다.

강세황 선생이 그림을 그릴 때가 32살에 안산에 내려와서 처가살이하면서 바닷가에 돌아다니면서 주로 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양화법 등 당시로는 파격적인 그림이었고, 당시 자기 얼굴을 그린  최초의 초상화를 그렸다. 자화상을 보면 매우 해학적인 아주 낙관적인 밝은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강세황이 안산에서 바닷가들을 소회하면서 그림도 그리고 자주 장터를 구경나가게 되는데 그곳에서 재주가 있어 보이는 단원 김홍도를 만나게 된다. 그 때가 단원의 나이 7살 때의 일이다.

그 이후로 강세황 집으로 단원이 들어가면서 새 인생이 시작되는데 단원의 정신적·물질적 최고 후원자는 표암 강세황, 앞의 예인군주 정조대왕, 한양 최고 갑부인 안산의 소금장수 김완태였다.

단원은 얼굴이 잘 생겨서 시쳇말로 ‘얼짱’이었다. 풍체 또한 마치 신선과 같고 키가 훤칠하고 술도 잘 먹고 해학에 능했다. 그래서 단원 호중에 간혹 술 취한다는 ‘(醉)’자로 ‘취화사’라는 호가 있다. 표암이 전적에 그 제자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대목을 보자.

“찰방 김홍도는 자가 사능이다. 어릴 적에 내 집에서 컸다. 눈매가 맑고 용모가 뛰어나 익힌 음식을 먹는 세속 사람 같지 않고 신선과 같다.”

스승이 제자를 이런 정도로 칭송한 것을 보니 참 대단한 사람이다.

“단원은 음률에 밝았고 거문고 젓대며 시와 문장 등 그 묘(妙)를 다하였으며, 풍류가 호탕했으며 (중략) 매번하였으나 단원의 마음을 스스로 아는 이만 안다. 단원이 사는 거처는 책상이 바르고 정돈되어 있었으며 집안에 있으면서도 곧 세속을 벗어난 듯하다. 세상의 용렬하고 옹졸한 이들은 사능이 어떤지 알지 못 하더라.”

단원이 청나라의 동지사행에 갈 때 실록을 보면 단원이 군관 직함으로 참여한다. 왜 도화서 화가 직함이 아니고 군관 직함으로 갔느냐 하는 점이 좀 의아하다.

하나는 말 그대로 단원이 기골이 장대하여 검객 자격으로 당시 세상의 중심인 연경을 보고 싶었을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화가는 못 들어오게 하니 군관 직함으로 따라나섰다는 견해가 있다. 단원은 아마도 검술과 무술에 뛰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박제가, 이덕무가 지은 동양 최대의 무보지, 즉 『무예도보통지』의 무보(武步) 그림을 단원이 그렸다. 이미 단원이 무술을 알고 이에 뛰어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싶다. 무보지 삽화는 그림도 알고 무술도 알았던 단원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래서 단원이 군관 직함으로 갈 수가 있었다.

두 번째는 요즘 말로 최초의 간첩들이 화가들이었다는 점을 이유로 꼽을 수 있다. 고려 충렬왕 때 화가를 중국에 보내 중국 지도를 그려오게 했는데 간첩죄로 걸렸다는 기록이 있다. 외국에 갈 때 화가들이 몰래 따라가 그 나라의 지도과 그림을 그려온다. 우리는 전략적으로 중국 지도와 그림 등이 필요했고, 중국에서는 그런 화가들을 못 들어오게 했던 것이다. 그래서 도화서 화가 중 김홍도가 선정될 수 있었으리라.

드디어 표암이 60세 넘어 출사하면서 단원을 도화서로 천거하고 21세 때 도화서 최고의 화가가 된다. 약관 21세에 한양의 예원을 정리해버린 작품이 바로 8폭짜리 병풍으로 그린 <신선도>이다.

기독교의 이데올로기화는 예수 궤적을 그리는 성화(聖畵)이다. 앞서 얘기한 남종문인화는 군신(君臣) 운운하는 유교를 이데올로기화한 일종의 종교화이다.

남종화가 ‘유교의  종교화’라는 것을 말하자면 아마도 한 학기 강의 내용이 될 것이다. 그렇듯 남종화는 유교가 이상향이라고 보는 내용을 그린 종교화인 셈이다.

이 <신선도>는 도교적 이상화이다. 이 <신선도> 필체를 보면 대단하다. 풍속화 등에 보이지 않는 대단한 것으로 이 팔폭 <신선도>를 가지고 이미 21살에 거의 조선 한양 화단을 평정해버렸다.

당시는 유교 정통사관과 왕이 지배하던 시대였는데 이 도교풍의 <신선도>가 유교적 이데올로기 시대였던 조선 시대를 바로 부정한 것이다.

그것도 작게 그린 것이 아니고 팔폭 병풍을 그렸다. 감히 21살에 이런 야심만만한 필체를 썼다는 것뿐만 아니라 이런 필치로 유교의 반대편에 있는 도교의 이상주의적 신성화를 그렸다는 점이 당시로서는 센세이셔널했다.

단순히 그림을 잘 그렸다는 이유로 남종화를 그렸다면 누가 깜짝 놀랐겠는가?

그러나 이는 문화적 반향이다. 당시 최고 이데올로기인 사대부 이데올로기를 유교에 대해 직선적으로 공격한 것이다. 이를테면 1970년대 반공 이데올로기가 전사회적으로 유포된 박정희 시대 때 북한 주체미학의 보천보 전투를 그린 것과 똑같다.

이 그림의 시대적 의미를 봐야 한다.
필체와 그 그림이 함유하고 있는 엄청난 정신적 의미 때문에 그야말로 한양이 발칵 뒤집힌 것이다.

풍속화 하면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을 드는데, 여기에 오원 장승업까지 하여 조선 시대 ‘삼원’ 운운하는데 그 중 오원은 한참 격이 떨어진다.

도화서 화원들은 대부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는데 집안내림이었다. 그런데 단원 같은 경우는 특별한 경우였다. 단원은 족보에 그림 그리는 사람이 없다. 무인 집안이었다.

단원보다 13세 연하인 혜원은 아버지가 대단한 화가였다. 혜원 아버지가 영조 어진을 그릴 때 단원이 참여한다. 



혜원과 단원 그림이 어떻게 다른가?

단원 풍속화는 농촌공동체인데 반해, 혜원 풍속화는 당시 한양 오렌지족들의 도시적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혜원은 단원을 좋아했는데 그 좋아한 티를 안낸다. 예술가는 2등보다는 1등만 필요하다.

예술가들 사이에는 항상 긴장이 있고, 보이지 않는 위계(位階) 질서가 쫙 서 있다. 무엇보다도 예술 자체의 독특한 가치가 중요하다. 고흐 시대는 고흐처럼 그렸던 화가들이 200명이 넘었다. 어떤 그림은 고흐보다 더 잘 그렸다. 고흐가 유행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고흐만 남고, 나머지는 익명의 그림으로 역사 속에 다 사라져 버렸다.

혜원이 단원의 풍속화를 보고 굉장히 감동받았으나 혜원은 역시 고수(高手)였다. 그는 농촌 대신에 한양의 뒷골목과 도시적 정취에 파고들었다. 단원의 필치는 아주 부드럽고 정감 있는데 반해, 혜원의 필치는 선이 아주 모던하고 날카로워서 도시적 건달풍에 입각해 있다.

그러나 혜원이 단원을 따라간 부분도 있다. 단원이 우물가 내지는 개울가에서 남정네들이 아낙네들을 훔쳐보는 그림을 혜원이 도시적 풍경으로 그려냈던 것이다. 그리고 혜원의 풍속화 뒷배경의 나무와 산세는 단원의 풍경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혜원은 그만큼 단원 존경하고 경외했으면서도 단원과는 다른 세계를 펼친 것이다.



연기 현감을 제수 받은 단원과 풍속화

정조대왕의 어진을 단원이 세 번이나 그렸는데 역사적으로 하나도 남지 않았다. 정조가 단원을 현감으로 제수하는데 도화서 화원 중 가장 출세한 것은 현감이다. 겸재 정선이 현감이었고, 그 다음이 단원이었다. 단원은 48세에 연기 현감으로 제수 받는다.

21살에 도화서에 들어가서 궁중화가로서 유명세를 날리고 그 사이 어명으로 금강산을 네 번이나 갔다. 한 번 가는데 최소한 약 5-6개월이 걸렸다.

어명으로 수많은 궁중행사 그림을 그려야 했다. 창덕궁의 엄청나게 큰 벽화인 해군 성도를 그릴 사람은 단원밖에 없었다. 그는 어렸을 때 초지진 해군사령부를 봐 왔기에 가능한 일이었으나 이 역시 그림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그리고 좀 행세께나 했던 대감들과 권력께나 한 양반들은 단원에게 그림 부탁을 하면서 그려주지 않으면 엄청난 시기와 괴롭힘을 당했을 것이다. 허리가 휘어지도록 그림을 그렸을 것이다.

연기현감으로 내려가서 쉬엄쉬엄 놀면서 못했던 악기도 다루어가며 여유를 가졌을 법하다.

42세에 내려갔는데 그 나이 때는 인생에서 두 번째로 자신을 자각할 나이였다. 또 화가로서 유명세와 그 어지러운 궁궐생활을 늘 봐왔기에 이제 인생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할 즈음이다. 

그래서 연기현감으로 내려갔을 때 말에서 내려 연기 현청이 보이자마자 속적삼을 쫙 찢어 오른손을 둘둘 감고 내가 낙상하여 오른손을 다쳤노라고 말했다. 조선 최대 화가가 내려왔으니 그 곳에서도 그림 부탁이 오죽했겠는가? 그때마다 손을 다쳐서 ‘나는 그림을 못 그리네’라고 핑계를 댔을 것이다.

어떤 미술사학자들은 단원이 다쳤다고 하는데, 그때 다쳤다면 그 뒤에 그림풍이 달라져야 하는데 오히려 더 좋아진다. 그렇지 않고서야 무인의 집안으로 군관직함으로 동지사까지 갔던 검객이 어떻게 낙상을 했겠는가?

그 조용한 시골 땅에서 내려와 궁궐의 지긋지긋한 암투를 벗어나 그런 모든 것으로부터 벗어나 김홍도가 내가 누구인가 내 인생이 무엇인가를 묻게 된다. 즉 자기 성찰의 기간인 것이다.

그때 나온 그림이 바로 ‘풍속화’이다. 풍속화는 그냥 그린 것이 아니다. 그냥 민중의 삶을 그리자고 작심해서 나온 것이 아니다.

세간에 풍속화가 단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무렵에 나온 풍속화는 고작 24점이 단원 풍속화의 전부이다. 나머지는 김홍도 작품으로 그림들이지, 화가 자신이 직접 낙관을 찍고 확인한 것은 24점뿐이다. 그 크기도 일반 노트를 펴놓은 정도 크기의 화첩이다.

풍속화에 나타난 단원의 고향 안산


이런 단원의 풍속화에 대한 맥락을 대부분 미술사학자들은 이해를 하지 못한다. 심지어 강연을 통해 단원의 바다 그림 하나 가지고 단원이 안산 사람이라고 하면서 안산시는 아파트나 청소차에서 단원 풍속화를 발라놨는데, 단원이 안산 사람이라는 전적이 어디에도 없다고 힐난하고 있다.

아니, 왜, 어디에도 나타나 있지 않는가? 이미 표암이 단원을 수제자로 두었다고 밝히고 있다. 전적이 안 나와 있다 하더라도 그림을 보면 단원이 안산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반드시 텍스트나 기록이 나와야 하는가?

모든 사람의 역사가 전적과 기록으로만 남아야 한다면 그 엄청난 양을 어떻게 감당하겠는가? 역사는 생략의 과학이다. 그 생략된 부분을 어떻게 변증법적 상상력으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원 김홍도가 자기 성찰을 하면서 되돌아간 곳이 바로 어렸을 때 안산에서 떠돌고 봐왔던 그 자리였다. 그래서 그린 그림이 바로 단원의 유명한 풍속화였다. 그래서 풍속화는 안산이라고 써 있지 않지만 단원 후배인 화가 홍성담의 경험에서 보건대 풍속화에 나온 사람 산천은 바로 안산이고, 여기 이 땅의 것이라는 사실을 확신하게 된다. 그것은 단원과 똑같이 고민한 화가만이 알 수 있다.

단원 그림을 직접 볼까요? 단원의 그림은 맑고 시작과 끝이 분명하다. 다른 산수화와 비교해보면, 시작과 끝이 정확하고 헛것이 개입해 있지 않다. 어영부영 흐릿하지 않다.

단원 김홍도의 마음을 참 잘 표현한 겨울 달밤 그림이다.




이제 풍속화를 보면, 이 작품은 기와를 올릴 때 끈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그 동작이 참으로 실감난다.
주막집 풍경 역시 두 개의 시선이 있고 자기가 그 경험을 하지 않으면 이런 아이의 시선을 넣을 수 없다.
바로 여기에 있는 아이가 김홍도 자신일 수 있는데 이는 그림 그리는 사람만이 안다.
가마니를 짜고 있는 가족이 있고, 한 아이가 공부를 하고 있다. 아이 태도가 참으로 재미있다.

김홍도 풍속화는 항상 두 개의 시선이 있다. 자기들이 부딪치는 시선과 함께 그것을 보는 제3의 시선이 있어 이렇게 부드러운 선으로 그렸어도 긴장감을 주고 전체적으로 팽팽하다. 이런 것들은 절대 나이 들어 분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경험컨대 바로 어렸을 때 봐왔던 정경을 그린 것들이다.




숨어서 보고 있는 사람과 목욕하고 있는 아낙네들. 그 선과 필치가 정확하다. 대장간 풍경, 새참 먹고 있는 사람들 참으로 정확하다. 어김없이 제3의 시선이 있다. 이 모든 것을 볼 때, 단원 어렸을 적의 기억이 분명하다. 흔히 아동미술에 나타나는 발달심리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여기에 가장 사실적인 그림이 있다. 옛날에는 소가 매우 귀했다. 동네 모든 논을 갈아주어야 하는데 그 멍에가 달아 혹이 날 정도로 혹독했다.
소가 가장 힘든데 이 그림에서 소가 가장 힘들게 나와 있다.




소를 정면에 배치하고 올라가는 구도로 그린 것은 아동미술적인 기법으로 어른들 세계 속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풍속화는 바로 단원의 어렸을 적 안산의 기억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 유명한 서당 그림도 서당 경험을 해보지 않으면 절대 그려볼 수 없는 그림이다. 상상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서당 아이들의 모습이 아주 실감나게 나와 있다.



김홍도, <무동舞童>, 《단원풍속첩》 중, 종이에 수묵담채, 27×22.7cm, 국립박물관 소장, 보물527호


<무동>이라는 그림이 있다.

그 당시 왜 이런 사당패와 광대패가 안산에 많았겠는가? 아까 소금장수 얘기도 했는데 안산의 소금을 팔아 한양 최대 갑부가 된 김완태 얘기를 했다. 그가 단원의 최대 후원자이기도 했다.

영·정조 시대가 태평성대라고 하지만 사실 엄청난 기근이 들어 많아 한번 들면 3-4년 이상 갔다.

다산 정약용, 강세황, 이익, 단원 김홍도가 동시대인이었다. 그리고 그분들이 살았던 이 땅에 사는 우리들은 행복하다.

하지만 다산이나 이익 선생의 글을 보면 당시 3-4년 기근으로 먹을 것이 없어 도저히 살 수 없었고 물이 없으니 전염병이 들어 그 마을 사람들이 못 나오도록 봉쇄하였고 그 곳에서 탈출한 사람들이 유민(流民)을 형성하고 그 중의 일부는 도적이 되었다.

다산 글을 읽어보면 “내가 5박6일 걸어 마을을 30여 군데를 지나갔지만 사람 사는 데가 없더라” 하고 기록하고 있다. 보통 역병이 돌면 보통 100만 명씩 죽어갔다.

특히 도고상인 같은 독점상인들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소위 영·정조 시대 자본주의 맹아인데 도고상인들이 양주, 송파, 해주, 안산 이런 곳에서 삼남(三南)에서 올라온 주요 물품들 즉 소금, 명태, 조기와 제삿상의 주요 품목들인 밤, 대추들을 매점매석해 버린 것이다.

유교 전통사회에서 조상제사를 못 올리면 난리가 난다. 그 제사 품목들이 씨가 말라 유기전에 들어오지 않고 가격이 오를 때까지 매점이 된 것이다.

당시 안기부인 비변사가 영조에게 상소를 수차례 올린다. 도고상인들이 삼남에서 올라온 물품을 매점매석하여 종로 유기전에 물품이 안 나오니 한양에서 제사를 지낼 수 없다는 것이다.

당시 장은 나라에서 지정해 5일, 7일, 4일장을 지정했는데 자기들 마음대로 사고파는 난장(亂場)은 법으로 엄금했는데 이 도고상인들이 상권을 틀어지고 난장을 튼다 하였다.

난장을 위해서 사람을 모이게 하기 위해 풍각쟁이가 나오는데 그네들이 탈패자 바로 연예인들이었다. 그래서 양주읍에는 탈패와 사당패가 모두 80패가 난장을 튼다. 그러면 제비, 출연자들, 기획자인 모각쟁이까지 포함해서 한 패에 10명이라 할 때 80패면 연예인이 800명이 모여 그야말로 드글드글했으니 주변에 엄청난 사람들이 모여 있다고 볼 수 있다. 해주장에 약 60패, 송파장에 약 80패, 안산장에 약 40패.

비변사 상소는 이런 도고상인이 물품을 독점하고 자기 마음대로 난장을 트니 법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대패와 무뢰배들이 담합해서 장을 쥐락피락하니 엄히 다스려야 한다고 상소했다.

<무동>은 바로 그것이다. 어릿광대가 아니고 탈패가 아니고 사당패였을 것이다. 그 뒷자리에는 모각쟁이들과 사당 패거리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 산수 그림은 바로 안산의 실경(實景)일 것이다.




활 매는 광경도 이곳이 해군사령부가 있어 늘 주변 풍광으로 볼 수 있다.
그 유명한 목살 그림을 보자. 옛날에는 그물이 없어서 이렇게 목책이나 돌들로 괘서 물이 들어왔다가 나가면 고기를 걷어냈을 것이다. 이 역시 안산 어장의 실경일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편자를 박는 말을 한번 주의 깊게 보면 사진을 찍어도 이렇게 절묘하게 표현하게 어려울 것이다.




김홍도, <군선도群仙圖>(부분), 1776년, 종이에 수묵담채,
132.8×575.8cm, 호암미술관 소장, 국보139호



풍속화의 마지막 그림은 바로 <군선도>이다. 더 자세히 보면 각기 다른 신선들이다. 그 이름들이 다 있다. 단원이 40세를 전후에서 마지막 이 <군선도>를 가지고 풍속화 마지막 화첩을 쫘 벌려서 이 신선도를 그렸다. 이 신선도의 크기는 크지 않고 노트 펼쳐놓은 사이즈 정도였다.

40세를 전후로 연기 현감으로 간 김홍도가 손이 다쳐 그림을 못 그린다는 김홍도가 그 한적한 시골에서 자기 정체성을 찾았던 것이다. 인생의 의미를 찾아 끊임없이 어릴 적의 기억으로 침잠해 내려갔다. 그 40세 전후로 그렸던 그림이 풍속화이다.

그런데 그 풍속화 맨 마지막 가서 왜 저 <신선도>로 마감을 했느냐가 중요한 열쇠이다. 여기에 김홍도의 철학이 있다.

김홍도는 끝가지 유교 전통주의에 대항하고 자기를 키워 주었던 출사전의 안산, 그 곳에서 걸어다녔고 살았고 만났던 안산의 모든 산과 땅과 바다와 개천과 강과 사람들을 모습을 24폭 조그만 화첩의 풍속화로 그려내고, 드디어 맨 마지막에 이 <신선도>를 그렸다.

단원에게 있어서 <신선도>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약관 20살에 한양 예원을 싹쓸이했던 자기를 조선 최고의 화가로 만들었던 <신선도>요, 두 번째는 유교 전통주의에 대한 저항이었다.

결국 자기가 어렸을 적에 만나왔던 모든 이들이 바로 신선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풍속화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이들, 씨름을 구경하고 아이를 회초리를 때리고 길쌈하고 쟁기질하는 사람들 즉 일하는 사람들과 엿장수 할 것 없이 모두가 신선들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유교 전통주의 과감한 도전이고 반항이다. 만약 당시 이것이 그려진 것을 알았다면 그것은 박정희 때 인혁당 같은 국가보안법으로 다스려야 할 위반 사례였을 것이다.




정조의 수원 용주사의 후불탱화 또한 김홍도가 그렸다.

이 탱화는 유일하게 서양화법 기법에 의한 것으로 당시 중국에 천주교 성화를 보고 김홍도가 배웠을 것이고, 김홍도가 그 기독교적 성화 양색을 받아들였다는 것은 대단히 모던한 의미이다.

사도세자를 기리는 용주사에 바로 그 성화를 그렸다는 것은, 천주교 박해가 기세등등하던 그 시대에 그 서양화적 기법의 성화 불화를 그렸다는 것은, 정조와 단원의 예술적 혼을 느낄 수 있는 면모이다.

단원은 정조에게 가장 총애 받고 어명에 의해 가장 많은 그림을 그렸던 조선 최고의 궁중화가였다.

이를 발탁한 강세황, 한양 최고의 갑부 김완태의 든든한 후원을 받으며 평생을 살았어도 결국 자기 성찰을 통해 민중적 삶과 애정을 간직하였으며, 그리고 무엇보다 참으로 부드럽고 자상했던 김홍도 삶의 결실을 만들었던 것이 바로 풍속화이다.

그 풍속화의 배경이 바로 안산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이러한 견해는 어쩌면 그런 고민을 한 화가만이 감득(感得)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말씀 드린다.


* 이 글은 2007년 8월10일 안산주민연대에서 한 홍 화백님의 강의녹취를 풀어 발췌한 내용입니다.

홍성담 / 화가.
1955년에 태어나 조선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선전요원으로 활동하였다.
1980년 11월 첫 개인전 이후 국내외에서 수차례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2007년 11월에는 일본 도쿄의 마키캘러리에서 <야스쿠니의 미망>전을 열었다.








단원 김홍도의 얼굴은 어떻게 생겼을까?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단원 김홍도 표준 영정. 1981년
우륵, 광개토대왕, 윤관, 장보고, 원효대사 등 영정을 많이 그렸던 한 한국화가가 1981년 비단에 채색화로 그린 <단원 김홍도 영정>.


대체 이 작가는 어떤 근거로 김홍도의 초상화를 그릴 수 있었을까? 표준 영정을 제작하려면 학계의 철저한 고증을 거쳐 정부가 지정해야 하는데 자료가 없는 이를 어떻게 그렸으며 표준영정으로까지 지정될 수 있었을까?

전문가들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에서 공식 표준 영정으로 지정할 만큼 급했던 이유라도 있었을까. 의아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 서울에만 수없이 많은 동상이 입상과 좌상, 흉상으로 놓여있지만 김홍도의 얼굴이 그렇게 생겼다는 확실한 보장은 없다. 어느 기록에도 김홍도의 초상화라고 확실히 단정할 수 있는 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래전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쓴 유홍준이 자신의 또 다른 저서 「화인열전」표지로 김홍도의 자화상이라며 평양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자화상>을 실었지만 출간되자마자 논란이 일었다.

이 그림이 게재된 북한 도록에 자화상이란 언급이 없으며 「옛 그림읽기의 즐거움」의 저자 오주석이 가짜라며 주장해 지면 논쟁이 불붙었다. 결국 뜨거운 설전만 남겼을 뿐 「화인열전」2권 표지의 김홍도가 진짜 김홍도인지는 가려지지 않았다.

다만 몇몇의 그림들을 통해 이렇게 생겼을 지도 모른다는 것 정도는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현재까지 거의 100퍼센트 김홍도의 얼굴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 자화상이 들어있는 그림이 있긴하다.

김홍도의 작품 < 단원도(檀園圖)>가 그렇다.

종이에 담채로 그려진 1미터가 넘는 중형 크기의 이 작품 한 귀퉁이에는 세 명의 선비와 한명의 노비(머슴)가 그려져 있다.

이 세 명의 인물은 김홍도와 강희언, 정란이다.
거문고를 켜고 있는 이가 김홍도 자신이며 벽에 기댄 채 부채를 들고 이가 동시대 화가 강희언이다. 그리고 김홍도의 거문고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구부정한 사람이 조선 최고의 여행가였던 화가 정란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그림에서조차 김홍도의 얼굴이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너무 작게 그려 놓아 뚜렷한 외관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단원의 자화상이 그려진 <단원도>. 정자 내 맨 왼쪽 거문고를 켜고 있는 인물


김홍도의 얼굴임을 인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그림이 있다. 김홍도가 그린 <포의 풍류도(布依風流圖)>이다.

이 그림은 <단원도>에서 거문고를 뜯던 김홍도의 확대판으로, 이번엔 비파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단원도>에서 보여준 방안의 분위기와 상당히 닮아 있다. 여기에 무심한 인물 표정, 비파를 연주하는 단아하고 꼿꼿한 모습, 특히 ‘흙벽에 아름다운 창문을 내고 여생을 야인으로 묻혀 시가나 읊조리며 살리’라며 본인에 대한 심정을 담담히 담아내고 있는 화제(畵題)로 미뤄 짐작컨대 이 그림의 주인공이 김홍도 자신임을 넌지시 알려준다. 



단원의 자화상이라 여겨지는 포의 풍류도(布依風流圖)


그러나 불행히도 이 그림 역시 그의 스승이었던 표암 강세황(豹庵 姜世晃)의 초상화에서 보이는 리얼리티가 있는 <자화상>은 아니다. 간결한 필선으로 음영 없이 처리한 탓에 가시적인 두드러짐이 강세황이 71세 때 직접 그린 영정(보물 제 590호)과는 비교할 수 없이 떨어진다.

결국은 아무리 고서를 뒤적여도 김홍도의 초상이 어떠했는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출처] 단원 김홍도 흉상의 정체 (미술품투자카페) 작성자 물망초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Visits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