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세계의 미술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i ser Pietro DA VINCI
known as Leonardo da Vinci
(Vinci, 1452 - Amboise,1519)





▲ Self-portrait of Leonardo da Vinci, 1512-1515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4.15 - 1519.5.2)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근대적 인간의 전형이다.
그는 화가이자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기술자, 해부학자, 식물학자, 도시 계획가, 천문학자, 지리학자, 음악가였다.
그는 호기심이 많고 창조적인 인간이었으며, 어려서부터 인상 깊은 사물, 관찰한 것, 착상 등을 즉시 스케치하였다고 한다.


다 빈치의 뜻은 '빈치'에서 태어났다는 뜻이며
풀 네임은 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빈치에서 ser Piero의 아들로 태어난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우리나라로 치면 그냥 충주댁 이런 이름 정도(..-_-?)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토스카나 지방의 산골 마을 빈치에서 유명한 가문의 공증인인 삐에로 다 빈치(Ser Piero da Vinci)와 가난한 농부의 딸인 카타리나(Catarina)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고향에서 초등 교육을 받은 후 1466년 14세 때 그는 가족과 함께 토스카나의 수도였던 피렌체로 이주한다.

15세부터 20대 초반까지 당시 유명했던 화가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밑에서 미술 및 기술 공작 수업을 받았다. 제자의 재능을 알아본 베로키오는 다 빈치에게 그림을 맡기고 자신은 조각에만 몰두할 정도로, 다 빈치를 제자가 아닌 화가로 인정했다. 레오나르도는 1481년까지 그의 스승의 영향에서 벗어나려고 많은 노력을 했으며, 이 시기에 그려진 인물화와 풍경화에서 이미 레오나르도의 독창적인 구도와 분위기 표현 기술을 엿볼 수 있다.

1481년(또는 1482년)에 밀라노의 스포르차 귀족 가문의 화가로 초빙되어 약 12년 동안 화가로서뿐만이 아니라 조각가, 건축가, 기사로서 오늘날 잘 알려진 레오나르도의 다방면에 걸친 천재성을 발휘했다. 이 시기에 세계 미술사에서 가장 뛰어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
암굴의 성모 〉(1483년, 루브르 박물관)와 〈최후의 만찬〉(1495~1498년, 밀라노)이 제작되었다. 〈암굴의 성모〉에서는 레오나르도 특유의 화법인 이른바 환상적인 색감을 살리는 스푸마토(Sfumato)가 첫선을 보이게 되며, 뒤에 이 화법을 바탕으로 유명한 모나리자(1500~1503년, 루브르 박물관)가 그려졌다.

또한 당시 로마 가톨릭의 통제에 따라 제작되던 교회 미술계의 풍토를 깨고,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는 등 자신의 소신에 따른 작품 활동을 했다. 1516년 프랑소와 1세(François I)가 있는 프랑스의 끌로 뤼세로, 그의 제자인 프란세스코 멜지(Francesco Melzi)와 함께 이주한다. 그는 3점의 그림(
모나리자(라 조콘다), 성 안나와 성 모자, 세례자 요한)을 가져간다.

1519년 4월 23일 유언을 남기고 5월 2일 67세로 사망했다. [
조르지오 바사리]는 레오나르도의 전기에서 레오나르도가 프랑소와 1세의 품 안에서 숨을 거뒀다고 적고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평생 독신으로 살아 자식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제자이자 동반자였던 프란세스코 멜지가 그의 유산을 상속하였다. 1570년 프랑세스코 멜지의 죽음으로 그가 평생 간직하고 있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엄청난 양의 크로키와 그림이 세상에 나왔다.



Old Man with Water Studies (c. 1513) is a drawing by Leonardo da Vinci. Some think it may be a selfportrait.




조르지오 바사리(Giorgio Vasari, 1511.7.3 - 1574.6.27)

이탈리아의 화가, 건축가일 뿐만 아니라 특히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하던 예술가들의 전기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511년 토스카나 지방의 아레초(Arezzo)에서 태어났으며 1524년 피렌체로 가서 안드레아델 사르토(피렌체파 화가. 초상화에 뛰어나다)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고 미켈란 젤로의 제자로서, 메디치가(피렌체의 지배자)의 원조를 받으면서 회화, 조각, 건축에 종사한 예술가이다.

역사상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만든 것은 1543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 <미술가 열전>의 출판이다. 바사리는 그의 책에서 당시의 시대를 규정짓기 위해 르네상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제자이기도 했다.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택에 바사리는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Le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d architettori :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 이라는 제목으로 영어본의 중역으로 국내에서 출간되었다.





                                                                                       Leonardo's childhood home in Anchiano.


전성기 르네상스의 최초의 대가라는 영예를 차지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어릴 때부터 수학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학문을 배웠고, 음악에는 신동인양 재주가 뛰어났으며, 유달리 그림 그리기를 즐겨하여 그의 부친은 친구인 베로키오에게 사사토록 하였다고 합니다. 이 곳에서 다빈치는 인체의 해부학을 비롯하여 자연 현상의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를 습득하여 당시 사실주의의 교양과 기교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우선 15세기의 사실주의를 완성하였고 더욱이 그것의 정신적인 깊이를 마련하여 가면서 주관적인 순화를 꾀하여 고전 예술에의 길을 택하였습니다. 그의 특색인 깊은 정신적 내용의 객관적 표현은 그의 놀라운 사실적 표현 기교의 구사에 의해서만 가능하였습니다. 사실상 15세기 초 이래의 르네상스 화가들이 한 걸음씩 더듬어 노력하여 온 사실 기법을 집대성하여 명암에 의한 입체감과 공간의 표현을 성공한 것이 다빈치였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15세기의 사실주의를 지양하고 다음에 오는 전성기 르네상스의 고전 양식을 이미 15세기 말엽에 완성하였습니다. 점차 15세기적인 요소를 극복하고 이 주관과 객관의 조화의 고전적 예술의 단계에 도달하게 된 것입니다 그의 활동 시기의 반이상이 15세기 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르네상스의 대표적 작가의 한 사람으로 보게 되는 연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Leonardo's earliest known drawing, the Arno Valley, (1473) - Uffizi



다빈치 예술의 특징-공기원근법, 명암법, 색채에 대한 연구, 단색화법

그는 물체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투시 원근법의 연구에 힘썼고, 직접 사람의 시체를 해부하여 근육의 조직을 알아보는 해부학을 처음으로 미술에서 쓰기도 하였습니다. 또 유채 기법을 개량하여, 이것에 의하여 처음으로 밝고 어두움의 미묘한 변화를 표현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모나리자」를 보면 육체의 정확한 묘사 위에 정신의 깊이나 생명의 신비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수수께끼의 미소 때문이 아니라, 그가 생각하여 낸 독특한 명암법 때문입니다. 즉, 색칠을 할 때에 한쪽을 진하게 하고 다른 쪽으로 갈수록 차츰 엷고 흐리게 하여, 머리나 팔의 은은한 입체감을 보여 주기 때문입니다.

예술에 있어서 다빈치의 중요한 과제는 '조화'에 있었습니다. 자연과 인간, 예술 세계과 인간...그들의 대립이 아닌 한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회화에 있어서의 다른 거장들의 그림에서는 인물들이 회화의 공간을 꽉 메우고 있지만 다빈치의 인물들은 화면에서 구성 요소입니다. 회화의 주역이 아니라 바위, 꽃, 하늘과 같은 회화의 통일된 주제를 이루는 부분입니다. 그의 그림에서는 단연 풀도, 물도 자세하게 묘사되어집니다. 또한 그는 당대의 화가들보다 해부학과 기하학의 조회가 훨씬 깊었습니다. 그렇지만 그의 그림에 나타나는 어떠한 선도, 어떠한 운동성도 그의 과학적인 지식을 강력하게 반영하지 않습니다. 회화 속에서 한 흐름으로 녹아 있습니다.

Sfumato(스푸마토-공기원근법)
다빈치는 기하학적 원근법이 표현하고 있는 견고성, 입체성이 오히려 화면 전체의 조화를 해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선을 분명히 표시하는 것보다는 인물이나 기타 소제들의 윤곽선을 없애주거나 아주 연하게 해주었습니다. 이것이 '스푸마토'입니다. 이는 화면의 원거리감이나 공간감과 더불어 화면 전체에 심오한 깊이를 더해주는 효과를 주며 회화의 소제들이 화면에서 튀는 것이 아닌 전체와 완전히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Chiaroscuri(명암법)
프란체스카나, 보티첼리 등은 어두운 부분에 대해서 밝은 색이 화면을 지배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다빈치는 반대로 어두운 부분이 증대되어 신체나 특히 윤곽선이 강조되어 인물을 회화의 분위기에 특히 몰입되도록하고 있습니다. 역시 화면의 조화에 기여하도록 합니다.

Monochrome(단색화)
다빈치는 색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당대 다른 거장의 그림들과 비교해볼 때 그의 그림의 색조들은 단순해 보일지 모르지만, 이것은 '단색'의 뜻이 아닙니다. 그는 회화적인 통일과 조화를 위하여 색조조차도 화면 속에 녹여 조화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모든 색채를 혼합함으로써 색채의 미묘한 뉘앙스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확신으로 여러 가지 색의 혼합을 시도했습니다. 그 결과 모든 색을 거의 모노크롬에 가까운 중간색으로 화면 전체를 메우고 있습니다. 어쩌면 이 것이 자연과 인간을 따로 때어놓고 보는 오만한 생각이 아닌 자연의 일부로써 인간을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진정 인간을 사랑하는 태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예술가, 건축가, 발명가, 기계공학자, 해부학자...Leonardo

예술사가들은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초를 가리켜 르네상스의 절정기라 부릅니다. 이 무렵 로마, 밀라노, 베니스, 플로렌스(피렌체) 등 이탈리아의 도시들은 위대한 예술가들을 배출했습니다. 16세기의 여명기에 활동했던 이탈리아의 거장들 중 Leonardo da Vinci, Michelangelo, Raffaelo(Rapheal) 세 사람을 꼽습니다. 이들은 이제껏 발현해내지 못했던 엄청난 창조력을 발휘하였습니다.

전성기 르네상스는 약 1495년에서 1520년까지만 지속되었는데 그것은 이러한 전성기를 일구어낸 위대한 사람들이 1520년대에 이르러 작고하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나이가 가장 많으며 르네상스를 고전으로 이끌어간 인물입니다. 조각, 건축, 토목, 수학, 과학, 음악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재능을 보인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천재적 미술가·과학자·기술자·사상가입니다.


과학자 다빈치

다 빈치는 예술가일 뿐 아니라 위대한 과학자, 발명가였습니다. 위대한 상상력으로 자동차,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대포, 전차 등 현대인이 사용하는 각종 장비들을 그는 벌써 생각해내고 자세하게 스케치 해두었습니다. 또한 당시 종교적 이유로 사체에 손을 대는 것은 금기시되었는데도 그의 인체해부도는 사실적이고 아주 정교합니다.

사람의 몸에 혈액이 흐른다는 사실을 맨 처음 발견한 유럽인입니다. 그의 연구결과는 오랫동안 묻혀있다가 19세기 말에 들어서 주목 받으면서 다시 그의 과학적인 천재성으로서 조명되고 있습니다. 현재 그의 기록이 23권의 책으로 남아있습니다.
그의 방대한 수기는 평생에 걸친 여러 과학(물리학, 역학, 광학, 천문학, 지리학, 해부학, 기계공학, 토목공학, 식물학, 지질학 등)의 연구 및 예술론과 인생론이 비롯된 것입니다.

다 빈치가 죽은 후에 그의 방대한 수기는 애제자인 Francesco Melzi의 소장이 되었고, 후에는 점차로 흩어져 지금은 밀라노의 암브로지아나 도서관, 투리브루치오 백작가, 파리의 앙스티튜드 드 프랑스, 영국의 윈저궁, 대영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알버트 미술관에 산재되어 있으며, 남아 있는 것만도 4쳔 페이지가 넘습니다. 현재는 서구 각지에 분산 소장되어있습니다.

과학론은 그의 실증적 경험주의와 냉철한 관찰적 사고법의 결정체로, 과학사에 있어서 그 선구적 의의가 큽니다. 전 분야에 걸친 그의 지칠줄 모르는 탐색과 광범위한 업적은 당대의 특징인 '全人(L'uomo universale)의 최고 전형이라 할만 합니다.



대표작품




대표적인 업적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919)는 르네상스(Renaissance, 14C~16C) 시대의 대표적인 회화, 과학, 기술, 기계적 인물로서 만능의 천재라고 일컬어진다.  그의 업적은 대략 다음과 같다.

  •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 등 12개의 그림을 그린 대화가
  • 5,000매의 노트와 1967년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발견된 700매의 노트(과학,건축,토목,병기 등의 기술에 능통한 과학자요 기술자임이 확인됨)를 작성하여 남김
  • 공성용 도구와 가장 효율적인 투석기를 고안함.
  • 소리를 내지 않고 터널을 뚫는 법과 전차, 기관총, 여러 대포 등의 제작법을 개발하였고, 관개 수리와 운하공사의 준설기의 제작기술과 회화와 조각에도 능통하였음.
  • 다빈치의 예술과 과학: 자연을 상대로 관찰, 조사하였고, 원근법과 조화의 감각은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달성. 새나 물고기와 곤충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면밀히 조사 연구하여 비행기의 모형을 설계함.
  • 다빈치의 해부학: 예술상의 필요로 시작한 인체 해부가 연구에따라 예술해부학의 경지를 넘어 과학적 해부학에 도달함. 남녀 사체 30체 이상 해부함. 그리하여 이로써 근대적인 경험적 과학과 실험적 과학의 눈을 뜨게 하였음. 그는 실제적으로 인체의 해부를 통해서 그리고 새의 비행 관찰을 통해서 그곳에 법칙이 있음을 인식함. 그는 “자연은 자기의 법칙을 깨뜨리지 않는다”고 주장. 역학적, 기계적 법칙을 개발함.
  • 다빈치의 스케치: 직물공장, 밀라노의 철공소, 대포 제작소, 사원의 세계.
  • 그 외, 방직기의 개량, 동력 전달을 위한 조인트(Joint), 기어(Gear) 등의 전달장치, 비탈면 등의 기계적, 역학적 연구의 달성.

그는 회화는 물론 문학, 음악, 의학, 특히 해부학, 식물학, 물리학, 광학, 역학, 수학, 지리학, 지진학, 천문학, 기상학, 건축학, 토목학, 수리학, 병기학, 화석학, 기계학 등에 능통하여, 이른바 그는 만능학을 정열적이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그는 만능(万能)의 천재이며, 그러나 물론 그렇다고 해서 전능(全能)의 천재라 할 수는 없는 것은 전능자(全能者)는 '전능의 하나님(Almighty God)' 뿐이기 때문이다.





The Baptism of Christ

그리스도의 세례


14살때 가족들과 피렌체로 이사하여, 예술가로 유명한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 제자로 들어가
보티첼리, 로렌쪼 등과 함께 화법에서 주조, 목공까지 다양하게 배우게 되는데,
이 시절에 '그리스도의 세례'라는 유명한 작품을 그리게 된다.



The Baptism of Christ. 1472–1475. Oil on wood. 177 × 151cm. Uffizi Florence

Verrocchio and Leonardo
Painted by Andrea del Verrocchio, with the angel on the left-hand side by Leonardo.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Leonardo also painted much of the background landscape and the torso of Christ.
 

이 그림은 다빈치의 스승인 안드레아 델 베르키오(Andrea del Verrocchio)가 그린 것인데
바사리의 증언에 따르면 이 그림의 배경의 상당부분과 왼쪽 하단의 천사를 다빈치가 그렸다고 한다.
스승 베르키오는 이 천사의 아름다움에 놀라 이 이후로는 그림을 그리지 않고 조각에만 몰두하였다고 한다.

이 그림은 현존하는 레오나르도의 가장 초기작 중의 하나로서
이 작품의 주문자는 성 사르빅 성당으로 전하며
신약성서 마태복음 제3장 13절부터 17절까지 기록된 그리스도 세례의 장면이다.

여기 천사의 모습에서 등을 보이며 머리를 옆으로 묘사하는 수법은 이미 레오나르도의 독자성을 보여준다.
또한 천사의 손에 들려진 그리스도의 옷은 그리스도와 천사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몸의 움직임과 더불어
가운데 세례장면을 강조하고 있다.
풍경은 요단강의 연장이며 물 또한 정화의 상징이고...


또한 이 시절에 1869년까지 델 베로키오의 작이라고 여겨진 '수태고지'를 그렸다.





The Annunciation

성모희보(聖母喜報), 수태고지(受胎告知)





The Annunciation by Leonardo da Vinci (1472-1475) Uffizi Gallery. (4,096x1,874 pixs)
Almost universally accepted (Generally thought to be the earliest extant work entirely by Leonardo.
The work was traditionally attributed to Verrocchio until 1869. It is now almost universally attributed to Leonardo.)



하늘에서 사뿐 내려와 마리아 앞에 무릎을 꿇고 성령에 의해 아기를 배었음을 알려주는
천사의 모습을 나타낸 수태고지는 많은 작가들에 의해 자주 표현되는 주제이다.

천사의 모습은 오른 팔에 맨 리번의 움직임으로 동적인 반면 마리아의 모습은 딱딱한 느낌이다.
배경의 나무는 늘 푸른 향나무이다. 녹색이 가진 뜻은 희망과 더불어 긴 생명을 가진 나무이므로 영원한 희망의 상징이 된다.


성모영보(聖母領報, 라틴어: Annunciation)는 그리스도교의 신약성서에 쓰여 있는 일화 가운데 하나로,
성모 마리아에게 대천사 가브리엘이 찾아와 성령에 의해 처녀의 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할 것이라고 고하고,
또 마리아가 그것에 순응하고 받아들인 사건을 말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모희보(聖母喜報)라고 하며, 성공회에서는 수태고지(受胎告知)라고 한다.

성모 공경 사상을 배경으로 삼은 그리스도교 문화권의 예술 작품 중에서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모티브이기도 하다.
이 사건을 기념하는 의식은 동방 교회에서 먼저 시작되었으며, 중세 즈음에 서방 교회에 전해졌다.
오늘날에도 동방 정교회나 로마 가톨릭 등에서는 3월 25일을 이 사건의 축일로 지정하여 기념한다.




부분도(고해상도)와 수태고지를 위한 습작



이 장면에서 성모 마리아가 독서 중인 것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을 뽑는 모습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옆에는 순결의 상징인 하얀 백합이 놓여 있지만, 대천사 가브리엘이 손에 드는 경우도 있다.
두 사람 위에는 천국으로부터 내려오는 빛이나 비둘기로 형상화된 성령이 그려지는 것이 많아,
성령에 의하여 잉태한다는 사실을 상징한다.





Cestello Annunciation by Botticelli, 1490. (좌)
Simone Martini - The Annunciation and Two Saints (1333), Tempera on wood, 184 x 210 cm (우)

중세의 작품으로서는, 랭스 대성당의 조상이나 시모네 마티니의 제단화가 유명하다.
르네상스기에는 과연 천상과 지상의 해후라는 르네상스적인 성격이 선호되어 가장 인기가 많은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산 마르코 수도원에 프라 안젤리코가 그린 벽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회화 등이 걸작으로서 유명하다.
그 밖에도 산드로 보티첼리, 라파엘로, 티치아노 등 여러 명의 화가가 이 주제의 그림을 그렸다.




산 마르코(San Marco) 수도원에 프라 안젤리코(Fra Angelico)가 그린 벽화 (좌)
The Annunciation; at the top of the Dormitory stairs. This is probably the most reproduced of all Fra Angelico's paintings.

One of several versions of The Annunciation is located in St Mark's Convent. (우)



The Annuncia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subjects of artistic representation in both the Christian East and as Roman Catholic Marian art, particularly during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and figures in the repertoire of almost all of the great masters. The figures of the Virgin Mary and the Archangel Gabriel, being emblematic of purity and grace, were favorite subjects of Roman Catholic Marian art. Because the natural composition of the scene–two parallel figures, often elegantly clad–the subject was often employed in the decoration of a diptych or tympaneum (decorated arch above a doorway).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the Annunciation is typically depicted on the Holy Doors (decorative doorway leading from the nave into the sanctuary).

In Roman Catholic Marian art, scenes depicting the annunciations are also used to represent the dogma of perpetual virginity, via the announcement by the Archangel Gabriel that Mary would conceive a child to be born the Son of God. Frescos depicting this scene have appeared in Roman Catholic Marian churches for centuries, and it has been a topic addressed by many artists in multiple media, ranging from stained glass to mosaic, to relief, to sculpture to oil painting.[4] It has been one of the most frequent subjects of Christian art, particularly during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The figures of the Virgin Mary and the Archangel Gabriel, being emblematic of purity and grace, were favorite subjects of many painters such as Sandro Botticelli, Leonardo de Vinci, Caravaggio, Duccio and Murillo among others. The mosaics of Pietro Cavallini in Santa Maria in Trastevere in Rome (1291), the frescos of Giotto in the Scrovegni Chapel in Padua (1303), Domenico Ghirlandaio's fresco at the church of Santa Maria Novella in Florence (1486), and Donatello's gilded sculpture at the church of Santa Croce, Florence (1435) are famous examples.


More Annunciation


20살에는 길드에서 예술과 의약에 대해 마스터로 인정받고, 아버지로부터 공방을 받았다고 한다.
자기 공방을 가진 다음에도 델 베로키오와 공동 작업을 했다고 하니,
'그리스도의 세례' 이후 델 베로키오가 다 빈치의 재능을 시샘하거나 하진 않았을 것 같다.





Portrait of Ginevra de Benci





Porträt einer Edeldame (Ginevra Benci). 1474-1476. 42 × 37 cm. National Gallery of Art. USA
Dependent on attribution of Lady with an Ermine (The work was proposed as a Leonardo by Waagen in 1866, and supported by Bode.
Early 20th-century scholars were vociferous in their disagreement, but most current critics accept both the authorship and the identity of the sitter.)



이 그림은 1474년경 그려진 것으로 당시 피렌체의 부유한 상인이었던 아메리고 데 벤치의 딸이었던
지네브라 벤치가 1474년 1월 15일 17세 나이로 니콜리니와 결혼하였을 때 그 기념으로 그린 것이라고 한다.

뛰어난 미모와 직접 시를 쓸 정도로 교양이 풍부하여 로마 교황청에 까지도 그녀의 뛰어난 재능과 미모가 소문이 났었다.

이 그림은 레오나르도의 만년의 여성 그림에 나타난 미소가 보이지 않고, 딱딱한 표정으로 있으나,
레오나르도의 젊은 시절의 필치에 의해서 대상 인물에 깊은 감정이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구도가 가슴부터 윗부분을 잡았기 때문에 약간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것도 부정할 수는 없다.

이 그림의 뒤에는 종려와 월계수, 그리고 소나무가 그려져 있고
[아름다움은 덕을 장식한다.]라는 글씨가 작품 뒤쪽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지네브라가 덕을 갖추고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Benois Madonna

베누아의 마돈나
(성모)





Benois Madonna. 1478, 49.5 × 31.8 cm. Oil on canvas (originally panel). The Hermitage, St. Petersburg, Russia
Generally accepted (Most critics believe that it coincides with a Madonna mentioned by Leonardo in 1478.)



소유자 이름을 붙여 <베누아의 성모>로 불리는 이 그림은 현존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많지 않는 확실한 진품 중의 하나이다.
이 그림은 19세기 초 한 상인이 이탈리아인 유랑 음악가에게서 사들인 후 지금의 에르미타지 미술관으로 옮겨졌다.

레오나르도의 비교적 초기 작품인 이 그림에는 15세기 이탈리아 회화가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주제 이외의 부차적 요소를 많이 도입하던 경향을 거부하려는 태도를 이미 보여 주고 있다.

성모의 모습이 너무나 인간적으로 표현된 것은 그만두더라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 위대한 화가가 이탈리아 회화에서 처음으로 모자(母子)의 심리적 일체감을 표현하고 있는 점이다.
이 작품으로 레오나르도는 15세기 리얼리즘의 성과를 마무리짓고 이탈리아 르네상스 예술의 새로운 통로를 열었다.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꽃이나 고양이와 같은 매개물을 그려서 서로간의 애정 교류를 이룩하고, 회화적인 표현으로 
나타내는 것은 흔한 일이다. 이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흰 꽃도 그와 같은 애정의 교류물로서 소녀와 같은 성모와,
그의 동생과 같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아기 예수의 얼굴은 이상하리만큼 커서
성모의 얼굴과 별로 다를 바 없을 정도이다. 두 사람은 모자 이기보다는 남매와 같은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 같다.
미완성의 작품이라고 생각되나, 배경의 공허한 느낌이나 색채의 변화가 없는 것이 눈에 띈다.








Madonna of the Carnation

카네이션의 성모




Madonna of the Carnation. 1478–1480. Oil on panel. 62 × 47.5 cm. Alte Pinakothek Munich
It is generally accepted as a Leonardo, but has some overpainting possibly by a Flemish artist.



이 작품은 레오나르도가 베로키오의 공방에 있을 때 제작되었던 것이라 추정된다.
그 무렵 보티첼리와 가까이 지내고 있었기 때문에 성모의 얼굴이나, 색채에 그의 영향이 엿보인다.
구도가 장식적이고 만년의 깊이는 느낄 수 없으나, 대상을 레오나르도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기술은 이미 싹트고 있다.
 
성모가 한 송이 빨간 카네이션을 가지고 있고 아기 예수가 이것을 잡으려고 손을 뻗치고 있다.
오른쪽에는 목이 가는 유리 꽃병이 놓여져 있고 화려한 백합꽃이 꽂혀 있다.
이 카네이션은 그리스도교적인 순애의 상징이라고 생각된다.
하느님, 즉 신이 있는 세계를 나타낸 배경의 산은 나중에 레오나르도의 작품에 나오는 산의 선구(先驅)를 보이고 있다.







St. Jerome in the Wilderness

성 제롤라모




St. Jerome in the Wilderness. 1480. Tempera and oil on panel. 103 × 75 cm, Unfinished. Vatican Museums
Universally accepted as a Leonardo.



이 그림은 미완성의 상태로서 아직 밑그림의 단계이지만, 모든 세부에 레오나르도적인 필치가 느껴진다.
왼쪽 상단부의 십자가와 교회의 데생이 있는데 십자가는 단번에 그려졌고 그의 운필(運筆)의 기술이 느껴진다.
이 그림에 관한 기록이 없어서 정확한 연대는 측정키 어려우나,
이 그림이 다음에 이야기할 <三王來朝>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1480년경의 작품이라 추정된다.

성 제롤라모는 4세기에 성서를 라틴어로 번역한 4대 교부 중의 한 사람으로
여기에서는 사자를 도와준 사막의 은사로서 그려져 있다.







Adoration of the Magi

마기의 기도





Adoration of the Magi. 1481. Underpainting on panel. 240 × 250 cm, Unfinished. Universally accepted. Uffizi Gallery, Florence


자신의 공방을 가진 후 1478년까지 작품 활동도 하지 않다가, 성 버나드 채플에서
'세 현자의 순례'를 소재로 한 종교화의 의뢰를 받고 '마기의 기도'의 작업을 시작한다.

이 그림은 그가 처음으로 그린 대작이지만 제작중에 1482년에 밀라노로 이사를 가면서 미완성인채로 남아있다.
그림의 소재는 탄생한 예수를 3명의 박사가 예배하러 방문한 정경이다.


마기의 예배 이후 다 빈치는 밀라노의 성 프란체스코 성당에서 의뢰를 받아 '암굴의 성모'를 그리기 시작한다.






Virgin of the Rocks 

암굴의 성모, 암굴의 마돈나





Virgin of the Rocks  1483-86, Oil on panel, 199 x 122 cm,
Musee du Louvre, Paris (원본 그림)
Universally accepted (Considered by most historians to be the earlier of two versions)



밀라노의 성 프란체스코 성당에서 의뢰를 받아 그린 그림으로
스푸마토 기법이 처음 제대로 쓰인 작품이라고 미술사적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물기를 머금고 있는 암굴 속에서 청록색의 옷을 입고 있는 성모 마리아가
풀 위에 앉아 있는 아기예수에게 요한을 인사시키고 있다.
좌측의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아기가 예수이다.
무성한 식물들에 담겨진 물의 존재는 청정(淸淨)을 나타내고,
그리스도의 요한에 의한 세례를 암시하고 있다. 원래 이 그림은 밀라노의 성 프란체스코 성당에 있던 것이
1506년 이전에 팔려 1842년 루브르 미술관에서 소장하게 되었다.



성당에서 구체적으로 구도, 등장인물 등에 대한 지침을 받고 그렸다고 전해지는데,
어쩃든 요구사항에 맞게는 그렸지만, 세부사항에 약간의 장난을 쳐놓았다고 평가된다.


1. 예수가 세례 요한을 축복하는 것이 일반적인 시나리오 인데, 여기서는 세례 요한이 예수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고 있다.

2. 마리아가 세례 요한의 머리 위에 상당히 위협적인 모습으로 손을 올려놓고 있다.
매의 발톱을 연상시키는 모습이다. 누군가
의 보이지 않는 머리를 움켜쥐고 있는 듯 하다.
3. 천사 우리엘이 마리아가 움켜쥔 머리를 자르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이런 이단적인 성격 때문에 '암굴의 마돈나'라고도 불린다.



이 그림은 밀라노에 있는 성당의 의뢰를 받아 그려진 그림이지만 보수에서 서로 맞지 않아
이 오리지날은 건네지지 않았다고 한
다. 보수가 맞지 않아 이 그림을 넘기지 않은 것이라는 것이 맞기는 하지만,
결국 복제화를 그린 것은 공동작업을 한 프레디스
형제가 보수를 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실 다빈치는 스포르차에 의해 후원도 받고 있었고, 자기 공방이 있을 정도의 재력도 있
었기에...

그리고 일설에는 위의 이단적인 내용 때문에 성당에서 퇴짜를 맞았다는 설도 있는데,
복제작에서 수정된 것을
보면 이 이야기도 신빙성이 없지 않다.

원 그림은 프랑스 왕실로 갔고, 이 그림의 가치를 알아차린 성당의 누군가가 반환을 요구했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복제화는 스케치만 다 빈치가 하고, 채색은 프레디스 형제가 거의 다 했다고 한다.
이렇게 탄생된 그림이 '다빈치
코드'의 댄 브라운이 물탄 그림(-_-;) 이라고 표현한 '암굴의 성모' 이다.





Virgin of the Rocks, National Gallery (London)1495-1508, 189.5 cm × 120 cm (복제한 그림)

Leonardo and Ambrogio de Predis
(Generally accepted as postdating the version in the Louvre, with collaboration of de Predis and perhaps others.
While the date is not universally agreed, the collaboration of Leonardo's workshop is.)



이 그림의 이단적인 내용때문에 퇴짜를 맞았다는 이야기를 살펴보자.
다른 사이트에서 발췌해 온 글이다.



 
 

Angel side panel, executed by the De Predis brothers.
Center's is Virgin of the Rocks, The Louvre.



출처
http://kr.blog.yahoo.com/orioribebe/279
         http://blog.naver.com/helmut_lang?Redirect=Log&logNo=150037391194
  http://en.wikipedia.org/wiki/Virgin_of_the_Rocks










Lady with an Ermine

흰 족제비를 안고 있는 여인





Lady with an Ermine by Leonardo da Vinci, 1489-1490, oil on board, 40 x 55 cm.
The
Czartoryscy's Collection, National Museum in Kraków, Poland
Generally accepted (This painting has been subject to continued disagreement since it was first published as a Leonardo in 1889.
The attribution of the "Ginevra de' Benci" has supported the attribution of this painting. The subject has been identified as Cecilia Gallerani.)



이 그림의 모델은 체칠리아 갈레라니(Cecilia Gallerani)로 "로도비코 일 모로"라는 별명을 지닌 밀라노 공작
로도비코 스포르차(Ludovico Sforza)의 애인이었는데, 젊고 아름다운 17세의 그녀는 음악을 연주했고 시를 썼다.
 당시 레오나르도는 로도비코 스포르차의 성채인 밀라노의 스포르체스코 성(Castello Sforzesco)에서
 머물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1488년 체칠리아 갈레라니를 만났다. 그녀는 재능과 미모가 뛰어난 여인이었다.

이 작품은 다빈치의 회화에서의 인간 형태의 전문성을 잘 보여준다. 체칠리아의 쭉 뻗은 손은
매우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다빈치는 각각의 손톱의 윤곽선, 손가락 관절 각각의 주름,
또한 구부러진 손가락 힘줄의 수축까지 그려내었다. 다빈치는 자기가 그리는 초상화를 완벽하게
하기 위해 자신의 일기장에 사람과 동물의 초상 드로잉을 연습했다.

얼굴의 부분과 껴안고 있는 동물의 상반신과 손 부분 등에서 레오나르도적인 감각이 농후하다.
그러나 다른 부분은 거의 나중에 덧칠을 하고 배경도 뭉개 버렸다.
그것은 보존 상태가 나빠서 수리하면서 이렇듯 평범한 톤의 작품이 되었다고 한다.
인물의 윤곽이 수정되고, 얼굴의 왼쪽이 다시 그려지고, 두발도 다시 그렸다고 한다

이 그림은 레오나르도가 그린 오직 네 점의 여성 초상화 중 하나이다.
(다른 세 점은 모나리자, 지네브라 데 벤치의 초상과 라 벨 페로니에르(La Belle Ferronière)이다.)
18세기 말 폴란드의 아담 찰르레스키 황태자가 사들여 그의 처 이사벨라의 콜렉션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그녀의 초상화에서 흰 족제비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해석이 있다.
애완용 흰족제비는 귀족정치와 연관되었고 흰족제비는 본래 갖고 있던 털가죽을
흙으로 더럽히느니 차라리 죽음을 선택하는 순수성의 상징이었다.
또한 흰족제비는 1488년 흰족제비 기사단을 만든 로도비코 스포르차의 개인적인 문장이었다.
그래서 체칠리아와 흰족제비의 관계는 다양하게 의도되었다.
다르게는 체칠리아의 이름의 말장난이었다.(그리스어로 흰족제비는 "galay"이다.)

엄밀히 보면, 이 그림에 있는 동물은 흰족제비라기보다는
통통하고 덜 자란 흰 동물을 보는 것을 즐긴 중세 사람들이 좋아했던 페럿으로 보인다.






Madonna Litta

리타의 성모





Madonna Litta(Madonna and the Child). 1490-1491, 42 × 33 cm, Hermitage Museum in Saint Petersburg
Disputed (Thought perhaps to be by Marco d'Oggiono)


구도가 단순, 명쾌해서 보는 사람의 주의가 자연히 주제인 모자상에 집중되게 되는데,
작가는 이 작품에서 모성(母性)의 이상적 형태의 창조에 집착하고 있다.

1543년 무렵 베네치아의 피에트로 칸타리니 컬렉션 속에 성모 그림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그것이 이 작품이었던 것 같다.
당시 베네치아 사람들은 그것이 레오나르도의 그림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그후 행방이 묘연하다가 1784년에 이르러 어느 공작(公爵)이 이 그림을 사들인 사실이 알려졌고,
1813년에는 다시 리타공(公)에게로 넘어갔다. <리타의 성모>라는 명제는 리타공의 소유라는 데에서 붙여진 것이다.
현재는 레닌그라드 에르미타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나 그 경위는 확실치 않다.



이것은 엄격히 따지면 레오나르도의 작품이 아닌지도 모르지만, 굳이 레오나르도의 작품이라고 그의 목록에 첨가한 것은
이 그림과 같은 레오나르도 자신의 작품의 존재가 다른 데생을 통해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제작 연대는 1490년경으로서 <암굴의 성모>와 같은 시대 작품일 것이다.
'예수에게 젖을 먹이는 성모'의 주제는 12세기말부터 되풀이하여 그려지고 있다.

주목할 것은 아기 예수가 왼손에 갖고 있는 작은 새로서, 그것은 '영원'을 상징하고 있다는 점이다









Portrait of a Musician

음악가의 초상




Portrait of a Musician. 1490. Oil on wood panel. 45 × 32 cm. Disputed
Pinacoteca Ambrosiana in Milan


The man in the painting was at one time thought to be Franchino Gaffurio, who was the maestro di cappella of the Milanese Cathedral.
Although some believe it to be a portrait of Gaffurio, others think the man is anonymous.
The piece of paper he holds is at least one part of a musical score; it has notes written on it.
The painting was greatly restored and repainted, and Leonardo probably left the portrait unfinished but close to completion.











La belle ferronnière

밀라노 왕궁 여인의 초상




La belle ferronnière, 1490-1496. Louvre Paris, Paris. 62×44cm. Disputed


레오나르도가 그리기 시작했던 작품을 제자들이 그림으로 팔기 위해서 손쉽게 정리하였던 경향이 있었지만,
이 그림은 그와 같은 경향이 한층 짙다. 얼굴이나 어깨등에 레오나르도적인 감각은 남아 있으나,
그곳에 다시 칠한 흔적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딱딱하고 가라 앉은 인상을 준다.
특히 앞 쪽 난간의 부분에는 아름다운 손이 그려졌어야 할텐데 난잡하게 잘리어져 있다.

확실한 제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490년대 밀라노 궁정 시대에 공방에서 제작한 초상화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1642년 컨템플로 궁에 작품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라 보면 이미 오래 전부터 프랑스에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The LAST SUPPER

최후의 만찬



루브르판 '암굴의 성모' 이후 여러 작품을 그리다 1495년부터 후원귀족 스포르차를 위해 '최후의 만찬'을 그리기 시작한다.
요한복음의 예수 최후의 만찬을 주제로 한 그림은 무수한 소문들을 동반하고 있으며,
1999년에 복원되었지만 다빈치가 그린 것은 20% 정도만 남아서 원본은 사진으로만 볼 수 있다.




The Last Supper. 1495~1498 . 460 x 880 cm.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Milan, Italy (1498), Universally accepted



The Last Supper measures 450 × 870cm and covers the back wall of the dining hall at Santa Maria delle Grazie in Milan, Italy.
The theme was a traditional one for refectories, but Leonardo's interpretation gave it much greater realism and depth.
The lunettes above the main painting, formed by the triple arched ceiling of the refectory, are painted with Sforza coats-of-arms.
The opposite wall of the refectory is covered by the Crucifixion fresco by Giovanni Donato da Montorfano,
to which Leonardo added figures of the Sforza family in tempera. (These figures have deteriorated in much the same way as has The Last Supper.)
Leonardo began work on The Last Supper in 1495 and completed it in 1498—he did not work on the painting continuously.
This beginning date is not certain, as
"the archives of the convent have been destroyed and our meagre documents date from 1497 when the painting was nearly finished."

The Last Supper specifically portrays the reaction given by each apostle when Jesus said one of them would betray him.
All twelve apostles have different reactions to the news, with various degrees of anger and shock.



산타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1943년 8월 15일 밤 미국과 영국의 연합군은 이 교회와 수도원을 폭격하였고,
이로 인해 식당의 많은 부분들이 부셔졌으나 다행히도 이 최후의 만찬은 살아남았다.




1943년 폭격후의 사진과 살아남은 최후의 만찬이 그려진 벽을 보호하기 위해 구조물을 설치한 모습이다.


이탈리아 밀라노 산타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 식당 벽에 그려져 있는 벽화로,
다 빈치가 그림을 완성한 뒤 그림은 계속 망가지기 시작했고, 500년이 흐르는 동안 원래 그림이 많이 훼손되어
이탈리아 정부는 그림을 복원하기로 결정, 1978년부터 시작된 21년간의 복원작업 후 1999년 5월 28일 복원된 그림이 공개된다.
진짜 다빈치가 그린 그림은 20%정도밖에 남지 않았고, 나머지는 수십명의 다른 화가가 그려 넣은 것이다.
구도, 공간 처리, 각 인물의 배치, 색채 등에서 레오나르도의 흔적을 볼 수 있다.





1975년에 촬영한 복구 전의 모습


신약성서 요한복음 제13장 22절부터 30절 내용을 조형화한것으로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날 밤, 열두 제자들과 함께 가진 마지막 저녁 식사 자리를 그리고 있다.

'너희들에게 고하노니 너희중의 하나가 나를 팔게 될것이다'


당시 이스카리옷 유다를 포함하여 모두가 이 만찬 장소에 모인 사람들 가운데 한 명이 자신을 배신할 것이라는 예수의 말을 전해듣는다.
베드로는 닭이 울기 전에 세 번 그리스도를 부인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으며, 그는 이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였다.
공관복음서에서는 예수가 찬미를 기원하기 위해 빵과 포도주를 들어서 각각 이를 ‘자신의 몸’과 ‘자신의 피’라고 말하며
제자들에게 나누어 주어 이 예식을 영원히 기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적혀있다.
성체성사 즉, 성찬례는 바로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최후의 만찬'은 예수를 한가운데 그리고 제자들은 식탁 양쪽에, 예수를 판 가롯 유다는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화가)의 '최후의 만찬'에서 처럼 따로 식탁 건너편에 외롭게 앉혀서 표현 했다.
그러나 레오나르도는 유다를 다른제자와 같이 앉히는 관용을 베풀었고, 돈주머니를 움켜쥐고있는 가룟 유다는
유일하게 어두운 그늘에 앉혀 빛 가운데 앉은 다른 제자들과 구분시켜 표현하고 있다.


사실 레오나르도의 '최후의 만찬'은 제목만 같을 뿐 다른 화가들의 작품과는 전혀 다르다.
레오나르도는 '너희중의 하나가 나를 팔리라'라고 폭탄 선언한 예수의 말씀에 제자들이 배신감과 자책감에
심리적으로 동요되는 극적인 순간을 택했다. 예수가 빵을 들어 축도하는 종래의 평범한 장면을 택하지 않았고,
또 드라마틱한 순간을 강조하기 위해 그는 제자들을 세 사람씩 한 그룹으로 결속시키고,
또 좌우 여섯 명에 연대시키고 12사도 전체를 연관시켜 감정의 회오리바람을 그림에 도입했다.


그래서 예수와 제자들 개개인뿐만 아니라 그룹 전체가 갖는 모든 표정, 동작, 제스처(Gesture)가
이러한 극적 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하도록 세심하게 배려했다. 자연스럽게 보이는 예수와 제자들의 위치도
실은 레오나르도가 치밀하게 계획하여 배치한 것이다.
괴테가 지적했듯이, 이탈리아에서는
사람 몸 전체가 생동감있게 표현되고 정서와 열정과 생각이 신체의 동작에 예민하게 나타나,
손의 제스처는 이탈리아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표현 동작이며
자연스럽게 보이는 예수와 제자들 위치도 그가 치밀하게 계획해 배치한 것이다.




1999년 복원된 그림


먼저 그리스도의 오른쪽 첫 번째에는 사랑하는 제자 요한이 앉아있고, 성질이 급한 베드로는
요한의 어깨를 잡고 누가 배신자 인지를 물어 보려는 듯 일어서고 있다.
이때 베드로가 오른손에 식사때 쓰는 칼을 쥔 채 칼자루 앞에 있는 가롯 유다의 옆구리를 본의 아니게 건드려
유다가 기절할 듯이 앞으로 넘어지면서 소금 그릇을 엎지르는 장면을 통해 긴장의 효과를 낸다고 괴테는 평하고 있다.


유다 뒤에는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가 열 손가락을 펴서 놀라움을 극대화하고
그 뒷좌석의 요한의 큰형 야고보가 팔을 펴서 베드로의 어깨에 손을 대고있으니 그들은 예수의 참다운 제자들이며,
식탁 맨 끝에 두 손을 짚고 몸을 지탱해 서서 바르톨로메오와 함께 짝을 이루어 균형을 이루니
정중동 극한 대비의 상황인 것이다.
요한에게 손을 뻗은 베드로처럼 야고보는 베드로에 손을 뻗어
처음 세 사람과 다음 세 사람과 그다음 세 사람의 그룹을 함께 연결시키고 있으니, 사뭇 기획적이다!


예수의 왼편에는 예수의 용모와 제스처를 닮은 예수의 동생 야고보가 양쪽팔을 벌리고 비극을 예감한 듯이 공포에 쌓여있고,
야고보의 뒤에는 의심많은 토마가 검지손가락으로 자기머리를 가르키고 있으며, 그 곁에서 빌립보가
가슴에 두손을 얹고서 자기 순결을 주장하고 있는 이 세 사도들이 한 그룹을 이루어 분위기를 연출케하고 있다.


그 다음 그룹의 마태는 두 동료에게 얼굴을 돌리고 예수 쪽으로 두손을 뻗고 있고,
작은 야고보의 동생 유대는 갑작스런 사태를 맞을 수 없다는 표정으로 한손으로 식탁을 짚고
다른 손은 식탁을 내려칠 듯이 들어 올리고 있고, 식탁 맨 끝에는 성 시몬이 대단한 위엄을 보이며 앉아
화면의 심각성과 무게 중심을 배로 연출케 하고 있다.






이 작품은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걸작인 것이
레오나르도는 한정된 비좁은 공간에 초 자연적인 크기의 제자상을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예수의 선언에 제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는 제자들의 흥분과 공포는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증폭되고
그들의 몸짓과 손의 동작에서 자기들의 진정한 뜻을 알리지 못해 불안과 공포에 떠는 제자들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반면 예수는 자기 숙명을 인식한 듯 자리에 앉아 조용하다 못해 외롭게 보인다.
다만 그의 왼손은 아직도 빵과 술잔을 가리키고 시선도 그 쪽을 향하고 있으니 이는 우리를 향한 메세지인가?




“다빈치 ‘최후의 만찬’, 4006년 ‘인류 종말’ 예언” ... [서울신문] 2010년 03월 16일(화)





Sala delle Asse ceiling frescoes

아쎄의 방




Detail of the ceiling of the Sala delle Asse, Castello Sforzesco, Milan. Painted by Leonardo da Vinci, c. 1498-99


Little remains today of the Leonardo’s decorative paintings in a suite of rooms in the north-east tower of the
Castello Sforzesco.
Although nothing survives of the paintings of the Sala Negra, in the Sala delle Asse (“Room of
the wooden panels”)
fragments of trees are visibly portrayed on the upper sections of the lateral walls.
Leonardo
worked on this mural with his assistants.

The branches of the trees are interwoven with golden braids to form a dense canopy
that stretches across the ceiling
and around the arms of Ludovico Sforza and Beatrice d’Este positioned in the centre.
Other tablets on the ceiling
with inscriptions refer to the marriage of Ludovico’s niece to the Emperor Maximilian in 1493,
and to the Sforza’s
claim to the Dukedom of Milan after the death of Filippo Maria Visconti, as proclaimed by Maximilian in 1495.
A third
tablet proclaims Ludovico’s victory over the French at the Battle of Fornovo,
and his journey to Germany to cement an
anti-French alliance with Maximilian in 1496.

The trees appear to be mulberry trees and as such are a reference to Ludovico Sforza, who was known as “il Moro”.
Surviving documents thought to relate to the decoration of the rooms imply a completion date of 1498 for the work.




the Sala delle Asse




One of less known, yet possibly among the most imaginative works of Leonardo da Vinci
are his paintings in Salle Delle Asse in Sforza castle in Milan.
Leonardo has very skillfully used the geometry of the hall so to achive impression that
the observer stands in the middle of some dense forest (this work of Leonardo could probably
be categorized as Trompe-l'œil, that was quite common later, in the baroque era).

But the pattern Leonardo creates is a complex "knottiness" of leaves, branches
and ropes that tie together in hundreds of different and very mathematical ways.



위의 마디에서 착안하여 그린 그래픽들
Leonardo's knottiness





출처 : http://asiber.ifs.hr/leonardo_uzorak_en.html







Young Girl in Profile in Renaissance Dress

Profile of a Young Fiancée






Profile of a Young Fiancée
late 15th century. 33 x 22cm. Chalk, pen, ink and wash tint on vellum, Private collection in Swiss
Identified as a Leonardo using the evidence of a fingerprint






이 작품은 사랑스러운 초상화이지만 그 묘사의 안이함이 날카로운 레오나르도의 맛을 없애고 있다.
1490년경의 작품으로서 일설에는 앙브로지오 디 프래디스의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으나,
프래디스의 화풍이 일정하지 않아서 단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주제가 된 여성이 누구인지 오늘날에는 알 길이 없다.
앞에서 이야기한 음악가의 초상이 밀라노 공의 초상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그의 짝으로서 밀라노 공 부인 베아트리 체 데스테의 상이라고 오랫동안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이 상들이 짝이 아니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모델의 문제는 여러가지 억측을 낳고 있다.





▲ 다빈치가 그린 것으로 알려진 '아름다운 왕녀(La Bella Principessa)'

19세기 작품인 줄 알고 ‘헐값’에 넘긴 그림이 알고보니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이었다고?

19세기 독일의 무명화가가 그린 것으로 알려졌던 그림이 사실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제는 12년 전 크리스티 경매회사가 2만2000 달러(약 2500만원)에 이 그림을 팔았다는 사실. 만약 이 그림이 다빈치의 작품이라면 적어도 1억 달러(1100억)는 나갈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6일 이 그림의 원 소유주였던 진 마칭(Jeanne Marching)이 크리스티를 상대로 엉터리 감정으로 큰 손해를 보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이 그림은 1998년 경매에 나올 당시 ‘19세기 독일파(派)’라는 카탈로그에 분류된 작품이었다. 2만2000 달러를 주고 이 그림을 산 것은 뉴욕의 한 미술품 거래상. 그는 2007년 이 그림을 캐나타의 미술 애호가인 피터 실버맨에게 다시 팔았다.

이후 이 작품이 다빈치의 지문이 찍힌 희귀한 작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전문가들이 탄소 연대측정과 적외선 분석까지 동원한 결과 이 그림이 그려진 연대는 19세기가 아니라 1440~165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빈치가 활동한 시대다. 그림 상단에 찍힌 지문은 로마 바티칸 성당의 ‘성 예로니모’에 찍힌 다빈치의 지문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옥스퍼드 대학 예술사 전문가인 마틴 켐프 교수는 이 작품이 당시 이탈리아의 세도가였던 스포르자 집안의 비앙카 스포르자를 모델로 한 그림이라고 주장했다. 켐프 교수는 이 그림의 제목을 ‘아름다운 왕녀(La Bella Principessa)’로 붙였다.

이에 진 마칭은 크리스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크리스티가 감정을 제대로 하지 못해 최소 1억 달러는 하는 그림을 헐값에 넘겨 손해를 보았다는 것. 그는 크리스티에 상당 금액의 보상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크리스티는 “이 그림이 다빈치의 그림이라는 주장에 아직 동의할 수 없다”며 “경매 당시 감정 절차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도 이 그림이 진짜 다빈치의 작품인지 확신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이 그림은 양피지에 그려져 있는데 다빈치는 양피지에 그림을 그린 적이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 전문가는 심지어 “20세기에 그려진 가짜”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2010-05-07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5/07/2010050700996.html







Mona Lisa or La Gioconda (French: La Joconde)
Portrait of Lisa Gherardini, wife of Francesco del Giocondo



다빈치 최고의 작품이라는 '모나리자'
제2차 피렌체시대(1500~1506)의 작품이라고 하나 완성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피렌체의 상류 시민 프란체스코 지오콘다의 3번째 처의 초상이라고 전해진다.

눈썹, 코, 입, 의복 등 모든 것이 가장 델리케이트한 부분까지 치밀하게 모사되고 있는 이 작품은
그 묘사력 때문에 후대 모든 화가들의 놀라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모나리자가 띠고 있는 신비스런 미소는 일설에 의하면 레오나르도가 이 작품을 그릴 때
모델의 주위에서 음악을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게 하거나 유쾌한 담소를 하게 하여
모델이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갖게 해 주고서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한다.




Between 1503 and 1506 / Oil on poplar wood / H. 77 cm; L. 53 cm
Purchased by Francois I in 1518 /
Louvre Museum, Paris

Mona Lisa (also known as La Gioconda) is a 16th century portrait
painted in
oil on a poplar panel by Leonardo da Vinci during the Italian Renaissance.
The work is owned by the
Government of France and is on the wall in the Louvre in Paris, France
with the title
Portrait of Lisa Gherardini, wife of Francesco del Giocondo.

The painting is a half-length portrait and depicts a woman whose expression is often described as enigmatic.
The ambiguity of the sitter's expression, the monumentality of the half-figure composition,
and the subtle modeling of forms and atmospheric illusionism were novel qualiti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painting's continuing fascination.

Few other works of art have been subject to as much scrutiny, study, mythologizing, and parody.






이 그림의 정확한 제작년도는 아직도 불분명한데 조르지오 바사리의 말에 의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기간인 1503년에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했는데
미완성작으로 남겨둔지 4년이 지난 후에서야 다시 그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한 이 그림의 모델이 누군가에 대해서도 이견이 분분하다.
조르지오 바사리에 의하면 그림의 모델은 1479년 피렌체의 평민 가정에서 태어나 16세에 의류 상인인
프란체스코 디 바르토로메오 델 지오콘도(Francesco di Bartolomeo del Giocondo)와 결혼한
리사 마리아 게라르디니(Lisa Maria Gherardini 1479-1542)이다.
이런 연유로 모나리자(Mona Lisa) 또는 라 조콘다(La Gioconda, La Joconde)로도 불리운다.    


모나리자 그림에는 눈썹이 그려져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해서는 그 당시 눈썹을 추하게 여겨 눈썹을 뽑는 것이 우아한 품위를 가진 여인으로
보이게 했다는 것이 당시 시대의 일반적인 상황이었다는 설과 (루브르박물관은 이렇게 설명한다),
모나리자 작품이 눈썹을 그리지 않은 미완성작이라는 설이 있다.

이 작품은 희미하게 미소짓고 있는 여인을 그린 초상으로,
'스푸마토'(sfumato) 기법을 사용하여 엷은 안개가 덮인 듯한 효과를 주고 있다.
구도는 당시에 가장 기본적인 초상화 구도였던 피라미드의 형태를 띠고 있다.



An emblematic smile

The Mona Lisa's famous smile represents the sitter in the same way that the juniper branches represent Ginevra Benci
and the ermine represents Cecilia Gallerani in their portraits, in Washington and Krakow respectively.
It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dea of happiness suggested by the word "gioconda" in Italian.
Leonardo made this notion of happiness the central motif of the portrait: it is this notion which makes the work such an ideal.


The nature of the landscape also plays a role. The middle distance, on the same level as the sitter's chest, is in warm colors.
Men live in this space: there is a winding road and a bridge. This space represents the transition between the space of
the sitter and the far distance, where the landscape becomes a wild and uninhabited space of rocks and water
which stretches to the horizon, which Leonardo has cleverly drawn at the level of the sitter's eyes.




마지막 사진을 보면 오른손을 왼손에 포개고 있는데 이모습이 결혼반지를 끼고 있는 것 보다
더 도덕적인 부인의 모습을, 더욱 신뢰성있는 아내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보고 레오나르도는 이 모양을 선택했다고 한다.



History

Leonardo da Vinci began painting the Mona Lisa in 1503, during the Italian Renaissance and,
according to Vasari, "after he had lingered over it four years, left it unfinished...."
He is thought to have continued to work on it for three years after he moved to France
and to have finished it shortly before he died in 1519.


Leonardo took the painting from Italy to France in 1516 when King
François I invited the painter to work
at the
Clos Lucé near the king's castle in Amboise. Most likely through the heirs of Leonardo's assistant Salai,
the king bought the painting for 4,000
écus and kept it at
Château Fontainebleau, where it remained until given to Louis XIV.
Louis XIV moved the painting to the
Palace of Versailles. After the French Revolution,
it was moved to the
Louvre. Napoleon I had it moved to his bedroom in the Tuileries Palace; later it was returned to the Louvre.
During the
Franco-Prussian War (1870–1871) it was moved from the Louvre to a hiding place elsewhere in France.

Mona Lisa was not well known until the mid-19th century when artists of the emerging Symbolist movement began to appreciate it,
and associated it with their ideas about feminine mystique. Critic
Walter Pater, in his 1867 essay on Leonardo,
expressed this view by describing the figure in the painting as a kind of mythic embodiment of eternal femininity,
who is "older than the rocks among which she sits" and who "has been dead many times and learned the secrets of the grave."




Museum visitors viewing the Mona Lisa through security glass (prior to 2005 move)



The Mona Lisa painting now hangs in the Musée du Louvre in Paris, France.
The painting's increasing fame was further emphasized when it was stolen on
August 21, 1911.
At the time, the painting was believed to be lost forever, and it would be two years before the real thief was discovered.
Louvre employee
Vincenzo Peruggia stole it.
Peruggia was an Italian patriot who believed Leonardo's painting should be returned to Italy for display in an Italian museum.
He was caught when he attempted to sell it to the directors of the
Uffizi Gallery in Florence;
it was exhibited all over Italy and returned to the Louvre in 1913.
Peruggia was hailed for his patriotism in Italy and only served a few months in jail for the crime.




Vacant wall in the Salle Carré, Louvre





St Anne and the Virgin
성 안나와 성 모자




The Virgin and Child with St. Anne, 1510. Oil on panel.  Louvre, Paris. 168 × 112 cm, Universally accepted


모나리자의 미소를 성 안나와 성모 마리아로 옮겼다는 '성 안나와 성 모자'

성 안나의 무릎에 마리아가가 앉아서 어린 예수를 안으려하고 있다.
안나는 마리아의 어머니이지만 여기서는 마리아와 동년배의 연령으로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미완성이라고 한다.

프로이드는 이 그림을 다 빈치의 동성애를 증명할 수 있는 단서로 보기도 했다.




Detail of the heads of St Anne and the Virgin(left) & Study of the head of St Anne(right)




St. Anne cartoon (The Virgin and Child with St. Anne and St. John the Baptist). National Gallery, London
1499–1500, Charcoal, black and white chalk on tinted paper, 142 × 105cm, Universally accepted



Detail of Child Jesus, Virgin Mary, st John the Baptist







John the Baptist

세례자 요한





St. John the Baptist 1513–1516. Oil on walnut wood. 69 × 57cm. Louvre Paris
Generally accepted ("Anonimo Gaddiano" wrote that Leonardo painted a St. John. This is generally considered Leonardo's last masterpiece.)



중성적인 매력을 표현한 '세례자 요한'

이 그림에서 '그는 흥해야 하고, 나는 쇠해야 하느니라'라는
말을 표현 하듯이 위를 손으로 가리키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부자연스러우면서도 신비한 미소를 띄고 있다.







Bacchus




Bacchus 1510–1515. Oil on walnut panel transferred to canvas. 177 × 115cm. Louvre Paris
Disputed(Generally considered to be a workshop copy of a drawing.)



세례자 요한과 거의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포도의 관, 호피 가죽, 지팡이 등이 바뀌었음을 볼 수 있다.
이 데생은 그 바위의 묘사 등에서 레오나르도적인 것이 적고, 또 체구나 얼굴의 표현이 딱딱해서
품격있는 레오나르도의 필치라고 생각하기가 어려워 많은 학자들이 회의를 가지고 있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Disegno di Anatomia Femminile

여성의 해부도




The Principle organs and vascular and Urino-genital systems of a woman. 1512.  47*32.8cm. Royal Library, Windsor Castle
A page from Leonardo's journal showing his study of a foetus in the womb (c. 1510) Royal Library, Windsor Castle

(오른쪽 그림을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다.)


이 여성 해부도는 1480년대부터 그의 생애 동안 열심히 연구한 해부학 연구의 성과의 하나로서 보여지는 것이다.
시체를 해부하는 것을 교회법으로 금지시키고 있던 당시로서는 놀랄 정도로 정확한 각 기관과 각 혈관 계통의 자세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는 특히 여성의 임신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임신과 태아의 그림을 많이 그렸다.
이 그림은 투시도로서 뿐만 아니라 형태의 아름다움으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그것은 해부도로서의 정확성보다는 도상학적인 세부의 아름다움이 넘쳐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Vitruvian Man
by
Leonardo da Vinci, Galleria dell' Accademia, Venice (1485-90)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또는 인체비례도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소묘 작품이다.
고대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가 쓴 ‘건축 10서(De architectura)' 3장 신전 건축 편에서
‘인체의 건축에 적용되는 비례의 규칙을 신전 건축에 사용해야 한다’고 쓴 대목을 읽고 그렸다고 전해진다.

레오나르도는 비트루비우스의 설명을 그림으로 옮기면서 고대의 인체비례론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실제로 사람들을 데려다 눈금자를 들이대면서 실측하여 기록하였다.

“자연이 낸 인체의 중심은 배꼽이다. 등을 대고 누워서 팔 다리를 뻗은 다음 컴퍼스 중심을 배꼽에 맞추고
원을 돌리면
두 팔의 손가락 끝과 두 발의 발가락 끝이 원에 붙는다…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사람 키를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잰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와 같기 때문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사람의 손가락과 손바닥, 발바닥과 머리, 귀와 코의 크기 등을 숫자로 계산하면서
사람 몸을 기하학적 관점에서 수학적으로 계량화하는 고대 사상을 실험하게 되었다.



비트루비우스의 인체비례도 (Pixs 2258x3070)


마르쿠스 비트루비우스 폴리오(Marcus Vitruvius Pollio,?-?)

BC 1세기 경에 활약한 고대로마의 기술자, 건축가이다.
그의 저술로 알려진 《
건축십서 De achitectura 》는 10권으로 구성된 일종의 건축학 논문이며,
로마건축의 집대성이라고 할만하다. 하지만 그의 일생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저서는 그리스 건축에서 상당부분 영향을 받았는데 규칙적인 비례와 대칭구조, 고전적 형식미를 강조 했다.
그는 마치 새나 벌이 둥지를 짓듯이 건축은 자연의 모방으로 생각해서 건축재료는 자연에서 나와야 하며
인간에게 휴식처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건축구조는 세가지 본질을 반드시 갖추어야한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견고함(
firmitas), 유용성(utilitas) 그리고 아름다움 (venustas)이다.
그리스 건축양식을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식으로 분류한 것도 비트루비우스이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재조명되는데 1414년 피렌체에서 재발견되어
르네상스 건축가들에 빠르게 각국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으며
고대 로마건축 연구 및 르네상스, 바로크, 신고전주의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그의 영향을 받아 유명한 비트루비우스 해부도를 그렸다.









Lost works
        Image         Details         Notes
Medusa

A juvenile work described by Giorgio Vasari.
Angel of the Annunciation
c. 1503
The painting is described by Vasari. A drawing survives among studies for the Battle of Anghiari (see below), and a copy is in the Kunstmuseum Basel.
Copy of The Battle of Anghiari by Peter Paul Rubens
The Battle of Anghiari
1505
The remains of Leonardo's fresco have been discovered in the Hall of the Five Hundred (Salone dei Cinquecento) in the Palazzo Vecchio, Florence.
  • Peter Paul Rubens, The Battle of Anghiari (pictured). Black chalk, pen and ink heightened with lead white, over-painted with watercolour, 54.2 x 63.7 cm. Musée du Louvre
Salvator Mundi
1506–1513
The painting is described by Vasari.
Copy of Leda and the Swan by Cesare Sesto
Leda and the Swan
1508
There are nine known copies of the painting, including:
  • Cesare Cesto, Leda and the Swan (pictured). Oil on wood, 69.5 x 73.7 cm. Wilton House, Wiltshire, United Kingdom
  • Anonymous, Leda and the Swan. Tempera on wood, 115 x 86 cm. Galleria Borghese, Rome, Italy



Disputed or recent attributions
        Image         Details         Attribution status
Tobias and the Angel
Tobias and the Angel
1470–80
Egg tempera on poplar
83.6 × 66 cm
National Gallery, London
Verrochio and workshop (including Leonardo?)
A painting by Verrocchio while Leonardo was in his workshop. Martin Kemp suggests that Leonardo may have painted some part of this work, most likely the fish. David Alan Brown, of the National Gallery in Washington, attributes the painting of the dog to him as well.
The Dreyfus Madonna
The Dreyfus Madonna
c. 1475–1480
Oil on panel
15.7 × 12.8 cm, 6.13 × 5 in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Disputed
Previously attributed to Verrocchio or Lorenzo di Credi. The anatomy of the Christ Child is so poor as to discourage firm attribution by most critics while some believe that it is a work of Leonardo's youth. This attribution was made by Suida in 1929. Other art historians such as Shearman and Morelli attribute the work to Verrocchio. Daniel Arasse discusses this painting as a youthful work in Leonardo da Vinci, (1997).
The Holy Infants Embracing
The Holy Infants Embracing
c. 1486–1490
Several versions in private collections.
 To the right Jesus is depicted as a man in his thirties, with olive complexion, brown hair and a sparse beard. He wears a pink robe with an embroidered band at the edge. On his head is a crown of thorns, and above his head, a golden halo. He bows his head with a sad expression and carries a large cross which runs diagonally from the bottom-left to the top-right of the image. To the left, two men appear to crowd into the scene. One angrily threatens Jesus with raised fist. The other raises his hand in a vulgar sign. Behind Jesus' head, another hand pulls a lock of his hair.
Christ Carrying the Cross
c. 1500
Oil on poplar
Private Collection, San Francisco
Previously attributed by Sotheby's to Gian-Francesco de Maineri. Attributed to Leonardo by its present owner. Attribution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tormentors of Christ to drawings made by Rubens of the Battle of Anghiari. According to Forbes Magazine, Leonardo expert Carlo Pedretti said that he knew of three similar paintings and that "All four paintings, he believed, were likely the work of Leonardo's studio assistants and perhaps even the master himself."
Madonna and Child with St. Joseph
Madonna and Child with St Joseph or Adoration of the Christ Child
Tempera on panel
Diameter 87 cm
Galleria Borghese, Rome, Italy
Previously attributed to Fra Bartolomeo. After recent cleaning, the Borghese Gallery sought attribution as a work of Leonardo's youth, based on the presence of a fingerprint similar to one that appears in The Lady with the Ermine. Result of investigation not available.
Mary Magdalene
Mary Magdalene
Recently attributed as a Leonardo by Carlo Pedretti. Previously regarded as the work of Giampietrino who painted a number of similar Magdalenes. Carlo Pedretti's attribution of this painting is not accepted by other scholars, eg Carlo Bertelli, (former director of the Brera Art Gallery in Milan), who said this painting is not by Leonardo and that the subject could be a Lucretia with the knife removed.
Profile of a Young Fiancée
Young Girl in Profile in Renaissance Dress, or Profile of a Young Fiancée
Identified as a Leonardo using the evidence of a fingerprint.






Studies for artworks




Studies - People and costumes




Studies - Anatomy




Studies - Nature




Studies - Machines

Flight




Geometry, Mechanics, Hydraulics



Arms







출처 : 워낙 여러 곳에서 발췌를 해서 일일이 기록을 못하고 주요한 곳만 적었다.

http://en.wikipedia.org/wiki/Leonardo_da_Vinci
http://commons.wikimedia.org/wiki/Leonardo_da_Vinci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paintings_by_Leonardo_da_Vinci
http://kma19.cafe24.com/newmusic/1_1.html





'Culture > 세계의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콜리어 John Collier  (0) 2009.05.12
고다이버(Lady Godiva)  (0) 2009.05.11
피그말리온 효과  (0) 2009.05.11
로세티와 윌리엄 모리스  (1) 2009.05.11
단테의 연인 '베아트리체'  (0) 2009.05.11
슬픈 베아트리체  (3) 2009.05.10
클림트의 풍경화  (0) 2009.01.18
구스타프 클림트의 일생과 작품들  (6) 2009.01.18
중국 수채화의 대가 Guan Weixing  (0) 2008.10.12
샤갈(Chagall)의 명화 감상  (0) 2008.10.12


Calendar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Visits
Today
Yesterday